국토부 '갯벌복원 통한 녹색미래가치 창출'

입력 2009-02-17 08: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해양부가 주최하고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갯벌복원종합계획(안)' 공청회가 17일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17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이번 공청회는 관련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환경단체 및 지역주민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갯벌복원 대상지 현황조사 결과 및 국내외 갯벌복원 기술개발 동향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관련 전문가 및 지자체를 통한 갯벌복원 대상지 조사결과, 총 15개 시군에서 81개소 약 32㎢에 달하는 면적에 대해 복원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간척지의 경제성 등 효용가치가 저하되고 육상 오염물질로 인한 환경피해가 가속화되고 있어 매립 등 당초 이용목적이 실효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최근 생태관광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대되고 순천만이 연간 250만명이 찾는 생태탐방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갯벌의 가치 증진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지자체의 수요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는 인근 습지보호지역 지정여부, 생태계 기능개선 가능성, 향후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해 순천, 고창 등 1개 우선사업 대상지를 선정ㆍ발표했다. 차후 복원의 목적, 경제적 타당성, 기술적 가능성, 생태관광유발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범대상지 3~4개소 더 선정해 올해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갯벌은 해양생물의 서식처 제공은 물론, 오염물질 정화, 심미적 가치제공, 홍수조절 기능은 물론 기후변화 기능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국민들의 휴식 및 친수공간이자 생태탐방지로 각광을 받으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갯벌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선진국에서는 이미 생물다양성 증진 및 수산자원 회복, 생태관광 활성화,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재해예방 등을 목적으로 대규모 복원사업이 진행 중이다.

국토해양부 윤현수 해양생태과장은 "갯벌복원사업의 성공 여부는 해당 지자체와 지역민의 복원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협조가 가장 중요하며, 시범사업을 통해 Best Practice를 창출한 뒤 단계적으로 1개 시군당 1개 복원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복원비용 절감 및 복원의 경제적 효과 극대화를 위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갯벌복원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공청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반영하여 오는 3월 갯벌복원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앞으로 복원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지침작성 및 전문가그룹(W/G)을 구성ㆍ운영할 계획이며, 갯벌복원 경험이 많은 미국, 독일 등과의 교류협력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