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연 기술이전료 3000억원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

입력 2021-12-21 13: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건수도 1만 2592건으로 역대 최다

▲연도별 기술이전 수입료.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난해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료 수입이 3000억 원을 돌파하며 전년에 세운 역대 최대치를 1년 만에 갈아치웠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국내 공공연구기관 280개(공공연구소 137개, 대학 143개)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료 수입은 전년 대비 47.9%가 증가한 3361억 원이다. 이는 직전 최대 기록인 2019년의 2273억 원보다 1088억 원가량 늘어난 액수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004년에 기술출자 방식으로 설립한 연구소기업(콜마B&H)의 지분을 매각으로 거둔 988억 원의 수입이 증가율을 끌어올렸다. 이 지분 매각 수입을 빼고도 2019년 실적을 뛰어넘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연도별 기술이전 건수.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사업화 실태조사)

기술이전 건수도 총 1만 2592건으로 전년(1만1676건) 대비 7.8%(916건) 증가하며 종전 최다 건수인 2017년의 1만 2503건을 넘어섰다.

이전된 기술의 79.1%(9967건)는 중소기업으로 이전돼 대기업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도움을 줬다.ㅏ

이전된 기술을 분야별로 보면 바이오·의료 분야가 3734건(29.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정보·통신 3265건(25.9%), 융복합 및 기타 1천806건(14.3%) 등의 순이다.

산업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내년에 ‘제8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2023~2025년) 수립 시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김상모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기술이전 수입과 건수가 동시에 증가해 공공기술 이전·사업화의 양과 질 모두 개선되는 모습이 확인됐다”며 “이전된 기술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과 사업화 성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실태조사 보고서는 이달 말 국가기술은행 누리집(www.ntb.kr)에 게재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