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오지 않는 청년들] 2030 잡으려면 대선후보 '지방 살리기' 올인하라

입력 2021-11-30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진학 일자리 위해 서울행 가속
10년간 30만명 서울로 순유입
"비수도권에 머물 환경 조성을"

▲18일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2022학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고사장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교문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지방 청년들의 서울행이 가파르다. 고용 측면에서는 서울의 과수요를, 주거 측면에서는 지방의 탈공급을 초래한다. 서울로의 쏠림이 심화할수록 지방을 떠난 청년은 치열한 경쟁으로 내몰린다. 지방에 남은 청년은 지방 소재 기업의 이탈로 인한 일자리 부족과 인구 감소로 인한 주택공급 부족으로 삶의 질이 하락한다.

청년층은 정당 지지 성향이 유동적이라 선거 때마다 투표율이 낮아 정치권의 외면을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청년층의 정치참여율이 높아지면서 내년 대통령 선거의 ‘캐스팅보트’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의 선택에 따라 대선 결과가 달라진다는 의미다. 이런 점에서 청년들이 ‘살 만한’ 지방을 만들어 인구 쏠림을 막는 ‘지역균형발전’은 내년에 치를 대선의 핵심 공약으로 떠오를 수 있다.

이투데이가 29일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총 30만6024명의 청년(15~29세)이 서울 외 시도에서 서울로 순유입됐다. 2011년만 해도 서울에 순유입된 서울 외 시도 청년은 1만5540명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4만8259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초반(20~24세)이 10년간 6배 이상 불어났다. 지방 청년들이 서울로 떠나는 추세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지방의 청년들이 서울로 떠나는 주된 이유는 취업과 입시다. 지난해 서울 외 시도에서 서울로 전입한 청년 중 15~19세의 절반(55.12%)은 교육이 전입의 주 목적이었다. 20~24세의 경우 44.33%는 직업, 29.60%는 교육 때문에 서울로 떠났다. 25~29세는 58.05%가 직업을 위해 전입했다.

청년이 떠나간 지방의 미래는 암울하다. 2047년 강원·전북·전남·경북 등 4개 도의 25~49세 인구 비중은 20%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해당 지역 일자리 감소와 청년 인구 추가 유출, 지역 경기 침체, 지방재정 악화, 기반시설 노후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로 이어진다. 가임여성 감소에 따른 항구적 출산력 손실은 또 다른 위기를 부른다. ‘지방소멸’의 현실화다.

핵심은 교육을 이유로 한 인구 유출이다. 서울 외 시도 출신이 서울 내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 3명 중 2명은 졸업 후 출신 지역으로 돌아오지 않는다. 지역 기업들도 유출된 지역인재를 쫓아 수도권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남은 청년들도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떠난다. 이는 끝없는 악순환의 출발점이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열쇠는 지방대학 육성이다. 일부 대선 후보들도 지방대학 육성을 주요 선거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가는 주된 이유가 학업·취업이고 근본적인 문제는 노동시장에 있는 만큼, 청년들이 수도권에 가는 것 자체를 문제로 인식하기보단 비수도권에 머물 이유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