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퍼링, 기준금리 인상 암시는 아냐… 고용시장 회복이 우선”-유진투자증권

입력 2021-11-04 09: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진투자증권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결정이 기준금리 인상을 암시하는 건 아니라고 4일 밝혔다. 기준금리 인상을 위해서는 고용시장 회복이 선행돼야 한다는 판단이다.

3일(현지시간)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정례회의 후 성명을 통해 이달 말부터 자산매입 축소를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자산매입 축소 규모는 국채 및 주택저당증권(MBS) 등 총 150억 달러(약 17조 원)로 종료 시기는 내년 7월께다. 다만 기준금리는 0.00~0.25% 수준으로 동결했다.

김연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자산매입 축소에 대해 “시장이 예상한 결정”이라며 “이제 최대 관심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중앙은행은 그동안 채권을 사들여 대규모 유동성을 공급해왔다. 기업 등 경제 주체가 자금 부족에 허덕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그러나 ‘무제한 돈풀기’와 경기 과열로 자산매입 축소가 가시화됐다. 시장은 자산매입이 줄고 예상보다 긴축 일정, 기준금리 인상이 빨라질 것을 우려했다. 자산매입 축소가 종료되면 기준금리 인상을 검토할 차례이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6월 FOMC 점도표 상 전체 위원(18명)의 39%가 내년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바 있다.

김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은 아직”이라며 “자산매입 축소와 기준금리 인상은 별개로 고용시장 회복이 우선 기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다만 미국이 고용에 대한 확신은 줄어들 모습”이라며 “이번 회의에서는 은퇴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우려 등을 고용 회복의 제약 요인이라 강조, 지난해 2월을 완전 고용의 기준으로 삼는 것을 다시 고려하는 것 같았다”고 평가했다.

한편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자산매입 축소를 시작하기로 한 결정이 기준금리 정책의 직접적인 신호를 암시하는 건 아니다”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고용 측면에서 아직 달성할 것이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