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임금근로자 9만4000명 감소…비정규직은 64만 명 급증

입력 2021-10-26 12:00수정 2021-10-26 16: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계청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자료=통계청)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이 상승으로 전환됐다. 비정규직이 60만 명 이상 늘어날 때 정규직은 10만 명 가까이 줄어서다. 최근 고용지표 개선세를 비정규직 증가가 주도한 셈이다.

통계청은 26일 발표한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서 올해 8월 정규직 임금근로자가 1292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9만4000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반면, 비정규직은 806만6000명으로 64만 명 증가했다.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38.4%로 전년보다 2.1%포인트(P) 확대됐다. 전년 0.1%P 하락에서 1년 만에 상승 전환이다.

성별로 여자, 연령대별로 20대와 60세 이상에서 비정규직 증가가 두드려졌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과 교육서비스업,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에서 비정규직이 큰 폭으로 늘었다. 비정규직 유형별로는 기간제 등 한시적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비정규직 증가의 주된 배경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다. 불황 산업에선 불황을 이유로, 호황 산업에선 호황의 지속성 불투명을 이유로 정규직 채용을 꺼리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기존 정규직 근로자의 플랫폼 근로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이동 등 코로나19 위기를 계기로 한 노동시장 구조 변화도 비정규직 증가의 원인 중 하나다. 기존에 직접고용이던 배달업의 외주화(대행)가 대표적인 예다.

유형별 비정규직 증감은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여자는 한시적 근로자 중 기간제에서, 남자는 용역근로 등 비전형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늘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에서 비정규직이 32만 명 급증하며 고졸 증가 폭(24만2000명)을 앞질렀다.

정부는 비정규직 증가만으로 고용의 질이 악화했다고 보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자발적 사유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비율이 전년 동월보다 상승했고, 전 국민 고용보험 추진에 따라 특수형태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률이 많이 올랐다”며 “이런 부분들은 양뿐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좋아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일자리 형태를 자발적 사유로 선택한 비정규직 비중은 59.9%로 3.3%P 확대됐으며, 최근 3개월간(6~8월) 월평균 임금은 176만9000원으로 5만8000원 늘었다. 서면근로계약서 작성률은 74.9%로 4.7%P, 사회보험 중 고용보험 가입률은 52.6%로 6.5%P 각각 상승했다.

단, 임금을 제외한 근로환경은 전반적으로 악화했다. 비정규직의 상여금 수혜 대상인 사람은 35.7%로 1.9%P 하락했으며, 교육.훈련 경험률은 35.3%로 5.9%P 급락했다. 노동조합 가입률도 53.5%로 2.6%P 내리며, 정규직과 가입률 격차가 두 자릿수(10.1%P)로 벌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