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기원 영구미제 되나...“90일 조사 마친 미국, 결론 못 냈다”

입력 2021-08-25 15: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한 실험실 유출설과 자연 전파설 확신 없어

▲중국 우한에서 5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우한/A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이 영구 미제로 남을 가능성이 커졌다. 90일간 조사를 마친 미 정보 당국이 기원 관련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정보당국으로부터 코로나19 기원 조사 결과를 보고받았다.

소식통은 미 정보 당국이 중국 우한 실험실 유출설과 자연 전파설 가운데 어느 쪽에도 확신을 갖지 못했다고 전했다.

2019년 11월 우한 실험실 연구원들이 병원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아팠다는 사실이 올해 초 보도되면서 코로나19 기원 조사 압박이 거세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정보 당국에 조사를 지시했다. 5월 1차 보고가 나왔지만 기원 관련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자 바이든 대통령은 90일 추가 조사를 지시했다.

당시 그는 “확정적 결론에 가까워지도록 해달라”며 실험실 유출 가능성을 포함해 기원을 조사한 뒤 90일 후 보고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정보 당국은 기존 정보와 함께 위성 이미지와 통신 자료 등을 새롭게 살펴봤다.

이번에도 조사 관계자들 사이에서 실험실 유출설과 자연 전파설이 엇갈렸고 어느 한쪽에 확신을 갖지 못한 채 조사가 마무리된 것이다.

CNN은 정보당국이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것에 대해 코로나19 기원 조사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중국 우한에서 2019년 말 발생한 정체불명의 폐렴이 세계보건기구(WHO)에 처음으로 공식 보고되면서 시작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은 중국의 초기 데이터 공유 거부로 기원 조사가 난항을 겪어왔다. 계속해서 자연 전파설을 주장하던 중국은 미군기지 유출설로 역공에 나서기도 했다.

WHO가 구성한 코로나19 기원 조사단은 2월 중국 우한을 답사했으나 중국 당국의 감시 논란 속에 제한적 조사만 마치고 돌아왔다.

이번 보고서는 기밀이 아닌 서류로 분류돼 조만간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