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규 유니콘 기업 291개 중 韓 기업은 1곳뿐

입력 2021-08-26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경련, 'CB Insights'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분석

(출처=전경련)

올해 7월까지 전 세계에서 신규 유니콘 기업으로 이름을 올린 291개 기업 중 국내 기업은 단 1곳뿐이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유니콘 기업이란 기업가치 10억 달러(약 1조1732억 원) 이상의 비상장 기업을 말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5일 기술기업 및 스타트업 전문 미국 시장조사기관 'CB Insights'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국가별 유니콘 기업 배출과 투자 생태계 현황을 분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나라별로 보면 미국 기업이 58.1%(169개)로 가장 많았다. 2등은 중국으로 8.9%(26개)를 차지했다.

우리나라에서 이름을 올린 유니콘 기업은 마켓컬리 한 곳뿐이다.

전체 글로벌 유니콘 기업은 779곳으로 이중 미국(388개), 중국(157개), 인도(36개), 영국(31개), 이스라엘(18개) 등이 세계 5강국을 이뤘다. 한국은 1.4%(11개)로 10위에 그쳤다.

유니콘 산업 상위 5개 분야로는 핀테크, 인터넷 소프트웨어ㆍ서비스, 전자상거래, 인공지능(AI), 헬스 순이었다. 미국과 중국이 이 분야 유니콘 기업의 62.8%를 차지했다.

반면, 한국은 인공지능(AI)과 인터넷 소프트웨어ㆍ서비스 분야에서는 유니콘 기업이 없다. 상대적으로 덜 유망한 분야에 편중돼 미래형 산업 진출이 제한적인 상황이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스타트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현황을 보면 미국과 중국이 전 세계 투자금액의 72.8% 이상을 유치했다. 한국은 단 1.5%만을 차지했다.

1억 달러 이상 대형투자에 한정하면 미국과 중국이 79.6%를 유치했고, 한국은 1.1%에 머물렀다. 최근 3년간 글로벌 대형투자 유치(1억 달러 이상) 총금액은 중국(1482억 달러)이 미국(1481억 달러)을 앞질렀다.

단계별 투자의 경우 한국은 세계 5강보다 스타트업의 초기투자 비중이 컸지만, 성장기 스타트업의 레벨업에 필수적인 중후기 투자 비중이 작았다.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탄력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스타트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를 회수하는 엑시트의 경우 세계 주요 유니콘 강국은 인수ㆍ합병(M&A)을 중심으로(82.8%) 이뤄지는 데 비해 한국은 M&A(52.9%)를 통한 투자회수시장이 상대적으로 경직된 상황이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이 더 많은 유니콘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대형투자 및 중후기 투자의 규모를 키워 성장기 스타트업을 유니콘으로 도약시키는 모멘텀 투자가 이뤄져야 하고 M&A 엑시트를 활성화해 투자금 회수와 재투자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자본을 벤처투자에 활용하도록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