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등급 건설사...인력감축ㆍ사옥매각 등 살아남기 '안간힘'

입력 2009-01-22 14:41수정 2009-01-28 13: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각 건설사 자체 구조조정ㆍ자구책 마련 나서

은행권의 신용위험평가 결과 CㆍD등급을 받은 12개의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들이 인력감축, 사옥매각 등 자체 자구책 마련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금융권 자금지원 중단 결정이 내려진 대주건설과 경남기업, 풍림산업, 우림건설, 월드건설 등 워크아웃 대상 기업들도 태스크포스팀((TFT)을 마련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 20일 금융기관으로부터 C등급 판정을 받아 워크아웃 처지에 몰린 11개 건설사들은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하고 회사 조기 정상화를 위해 부산한 모습이다.

해당 건설사들은 워크아웃이 받아들여질 경우 대대적인 구조조정과 자구책 마련이 불가피하지만 워크아웃 대상에서도 탈락할 경우 회사 존립 자체가 흔들릴 것으로 보고 조기 워크아웃 졸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우림건설은 사옥 매각, 조직 슬림화 등 자구안 마련에 착수했다.

우림건설 관계자는 "금융기관의 결정이 아쉽지만 일단은 빠른 시일내 워크아웃 결정이 내려져 자금 지원을 받는 게 낫다고 보고 자구책을 마련중"이라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속된 인력 조정과 사업부지 매각 등의 구조조정을 조속히 마무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풍림산업과 이수건설도 워크아웃 전담 TF조직을 마련하고 구조조정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풍림산업은 3, 5, 7년 단위의 회생 방안과 현금확보안 등 자구계획을 마련해 조기 워크아웃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월드건설은 유동성 확보 방안으로 사이판 리조트와 국내.외 보유중인 사업부지 매각 등 구조조정을 단행할 방침이다.

D등급을 받아 자금지원이 중단된 대주건설은 금융권 부채가 적은 만큼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통해 자력갱생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 등도 고려하고 있다.

대주건설 관계자는"기업 재무구조는 순부채가 640억원에 불과한 만큼 조직 및 인력 축소, 지급보증 사업 활성화 등으로 반드시 회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건설사들은 그러나 워크아웃에 들어가서도 사업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까봐 우려하고 있다. 이미 워크아웃 대상 업체에는 공사 진행 여부와 분양대금을 떼일 염려가 없는지 등을 묻는 아파트 계약자들의 문의전화가 잇따르고 있다.

해당 건설사 관계자는 "워크아웃은 부도와 다르고 공사가 제대로 진행된다고 답변해도 계약자들은 불안해하는 것 같다"며 "홈페이지에 안내문을 띄우는 등 계약자과 협력업체들 안심시키기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분양이 많은 지방 사업지의 경우 해약 요구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모델하우스 관계자는 "분양 초기 사업장의 경우 해약을 원하는 고객들이 더러 있었다"며 "이미 계약, 중도금이 들어가 현실적으로 해약이 불가능해 고객 응대하기가 난감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장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워크아웃이든 퇴출이든 빠른 시일내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라며 "워크아웃 대상이라도 살릴 수 있는 회사는 조기 자금지원 등의 방법으로 회사를 정상화 시켜야 계약자나 협력업체 등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권은 이번 평가에 포함되지 않은 건설사를 대상으로 2차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할 예정인 가운데 GS건설 등 대형건설사들도 임원 대폭 감축과 함게 조직개편을 통한 본사직원 일선 영업직 전환,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