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상품ㆍ서비스 개발 ‘스페이스 이노베이션’추진, 전문인력도 양성
정부가 산업체 주도로 2031년까지 100기 이상의 초소형위성을 개발한다. 또 우주 상품 서비스를 개발하는 ‘스페이스 이노베이션’ 사업을 비롯해 ‘미래우주교육센터’를 설치해 우주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과 ‘우주산업 전문인력 양성 추진방안’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에서는 2031년까지 공공분야 초소형위성 100기 이상을 산업체 주도로 개발한다.
국가 안보를 위한 (초)소형위성 감시체계 구축, 6G 위성통신을 위한 초소형 통신위성 시범망 구축, 우주전파환경 관측을 위한 초소형위성망 구축, 미래선도기술 확보를 위한 초소형 검증위성 개발 등 4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들 위성 개발 시에는 1호기(시제위성)부터 국내 산업체가 참여하고, 2호기부터는 산업체 주관으로 양산할 수 있도록 해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
소형위성은 단기간ㆍ저비용 개발이 가능해 민간이 우주개발에 참여하는 진입장벽을 낮추고, 우주 상품 및 서비스의 경제성을 높여 우주산업이 활성화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여러 대를 군집으로 운용해 동일 지점을 더 자주, 또는 동일 시간에 더 넓게 관측할 수 있어 고성능 위성과 효과적인 상호 연계ㆍ보완 운영이 가능하며, 전 지구적 임무 수행에도 용이하다. 2019년 NSR 시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세계 초소형위성 산업은 연평균 17% 성장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중소ㆍ벤처기업이 우주 산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초소형위성 기반의 우주 비즈니스 시범모델 개발을 위한 ‘스페이스 이노베이션’ 사업도 추진한다.
중간평가를 거쳐 선정된 최종 4개의 기업은 3년간 20억 원 내외와 우주 전문기관의 기술자문ㆍ일정관리 등의 지원을 받게 되며, 사업모델이 성공적으로 검증될 경우 후속위성 양산과 수출ㆍ사업화 등을 위한 지원을 2년 동안 추가로 받게 된다. 또 초소형위성에 적용할 상용부품 선별에 필요한 개발 기간 및 비용을 단축할 수 있도록, 초소형위성에 적용한 상용부품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기업에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민간의 우주개발 참여 확대에 따라 늘어날 우주 인력 수요에 대응해 연간 100여 명을 대상으로 우주기술 전문연수를 실시하고 우주 산업체 채용을 연계하며, 연 60여 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우주 전문기관의 시설ㆍ장비를 활용한 현장교육을 지원한다. 위성 체계개발이 가능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 10여 명을 대상으로, 2년간 위성개발 사업에 직접 참여하며 전문가의 도제식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 우주탐사, 우주통신, AIㆍ빅데이터 융합 우주기술 등 전략적인 인력양성이 필요한 분야는 ‘미래우주교육센터’를 설치하고, 관련 산ㆍ학ㆍ연 컨소시엄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1차관은 “산업체 주도의 초소형위성 개발과 우주산업 전문인력 양성이 우리나라 우주 기업의 역량 강화와 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우리나라 우주산업이 활성화되고, 글로벌 우주 기업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