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 나서는 전 세계 중앙은행들, 연준 출구전략 기정사실화

입력 2021-06-16 14:36수정 2021-06-16 17: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 등 아시아 신흥국 외환보유액 6507조로 7년 만에 최대
2013년 버냉키발 긴축 발작으로 피해 막심
선진국들은 금리 인상 카드 만지작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지난달 18일 트레이더들이 외환 시세를 살피고 있다. AP뉴시스
미국 경기회복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 전환에 대비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신흥국들은 달러를 쌓아놓고 있다. 선진국들은 기준금리 인상 등 연준 행보에 발맞추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아시아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은 5월 기준 5조8200억 달러(약 6507조 원)로, 2014년 8월 이후 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중국을 제외한 기준으로는 2조6000억 달러로 사상 최대에 달한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신흥국은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등 9개국이다. 중국을 제외하고 외환보유액이 가장 많은 국가는 인도로, 6000억 달러 이상을 보유하고 있고 대만과 한국이 각각 5430억 달러와 4565억 달러로 집계됐다.

중국 외환보유액은 3조2200억 달러로 5년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약달러와 외국인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증가가 한몫했다.

이들이 외환보유액을 늘리는 것은 테이퍼링(자산 매입의 점진적 축소)이나 금리 인상 카드를 고심하는 연준발 시장 변동성 탓이다. 2013년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촉발한 ‘긴축 발작’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아시아 시장에서 갑자기 빠져나가면서 각국 중앙은행은 국채 수익률 급등 등 어려움을 겪은 기억이 선명하다.

ING그룹의 니콜라스 마파 이코노미스트는 “신흥국들은 과거 통화 전쟁으로부터 확실히 배웠다”며 “그들은 선진국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기조를 뒤바꾸거나 연준이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파급력을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한국과 뉴질랜드 중앙은행이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점을 짚기도 했다. 지난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하반기 이후 역점 사항으로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 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연준은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도 비둘기파적인 전망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미국 경기 회복이 빨라지면서 신흥국 중앙은행이 예상보다 빠른 정책 전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신흥국이 외환보유액을 늘리는 동안 선진국은 기준금리 인상을 포함해 기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축소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지난달 성명을 내고 “정책 금리가 하반기 인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아이슬란드는 지난달 서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했다.

금융정보업체 레피니티브가 이자율 스와프 시장을 분석한 결과 노르웨이가 향후 1년 이내에 금리를 인상할 확률은 70%로 집계됐다. 영국과 캐나다, 뉴질랜드도 이르면 내년 금리 인상이 점쳐진다. 이들 국가는 저금리에 따른 주택 가격 상승 등 자산 버블 양상이 강해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마이너스 금리 기조를 유지 중인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은 금리 인상 관측이 제한적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일본은 특히 1~2년 후에도 마이너스 기조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