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30%로 확대

입력 2021-05-27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제공=금융위)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이 30% 이상으로 확대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7일 이러한 내용의 인터넷전문은행 개선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공급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중·저신용자는 신용등급 4등급 이하, 신용평점 하위 50%인 사람으로, 국내에 약 22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우선 금융당국은 중·저신용자 대출을 2020년 말 2조 원의 규모에서 올해 말 4조6000억 원으로 2조6000억 원을 추가로 공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카카오뱅크과 케이뱅크, 토스뱅크(본인가 심사 중)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3년 말까지 30%를 넘긴다는 계획이다.

은행별로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말 10.2%에 불과한 중·저신용자 비중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2023년 말 30%로 확대하기로 했다. 케이뱅크는 증자가 완료되고 신규 CSS가 안정화되는 2022년부터 중‧저신용자 비중을 적극 확대하여 2023년말 32%로 확대할 방침이다.

토스뱅크는 영업 첫해부터 중‧저신용자 비중을 30% 이상으로 설정하고 40%를 상회하는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다만 토스뱅크의 경우 아직 본인가 심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으로, 본인가 여부, 본인가의 내용, 영업개시 이후 상황 등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

동시에 금융당국은 중·저신용자 상환능력 평가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CSS 고도화를 병행 추진한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자산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CSS 고도화를 통해 상환능력 평가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실제고객 특성을 반영한 CSS를 신속하게 구축하는 한편 CSS에 활용되는 대안정보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오는 6월부터 실제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중신용자·금융이력부족자 특화 모형이 추가된 새로운 CSS 개발·적용한다. 케이뱅크는 올해 4분기에 CSS에 금융이력부족자 특화 모형을 추가하고 금융정보와 대안정보를 가명결합한 데이터를 신용평가에 활용하기로 했다. 토스뱅크는 제2금융권 고객정보, 햇살론 등 중·저신용자 특화 금융상품 고객정보를 반영해 CSS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인터넷전문은행이 계획을 사전에 공개하고 은행별 이행현황을 비교 공시(분기별)하도록 할 방침이다. 은행연합회의 비교공시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는 오는 8월부터 최초 공시가 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은행별 이행현황을 점검해 그 결과를 공개하고 미흡한 사항은 개선하도록 권고하고 계획 미이행 시 신사업 인‧허가 등에 고려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