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중국경제 ‘자립형’으로 전환…대외 의존도↓

입력 2021-05-20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무협 "중국 경제안보 행보에 우리 기업도 대비해야"

▲역대 중국 5개년 규획의 핵심 키워드 및 육성산업 (사진=뉴시스 / 자료=무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중국 경제가 자립형으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경제안보를 강조하는 만큼, 우리 기업도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위기를 넘어 자립으로 : 중국 14차 5개년 계획으로 본 경제ㆍ통상정책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는 향후 중국의 경제기조는 △내수가 성장주도 △수출은 보조하는 ‘쌍 순환’이 첫 번째 축이다. 핵심 산업의 기술자립을 통해 외부 의존도를 줄이는 ‘혁신주도형 발전’도 나머지 축으로 등장할 예정이다.

미래 성장동력을 내부에서 발굴해 미국과의 통상분쟁 등 외부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경제 전반의 자립도를 높이겠다는 게 핵심이다.

중국 정부의 이번 대응책은 13차 계획 기간(2016~2020년) 중 불거졌던 논란을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13차 기간에 △미ㆍ중 무역분쟁 △주요 선진국의 대중국 견제 등이 이어졌다. 그동안 수출과 투자에 의존해왔던 외연적 경제성장 공식이 한계에 부딪혔다는 판단이 나온 셈이다.

무역협회의 이번 보고서는 중국이 앞으로도 여러 통상쟁점에서 중국만의 독특한 경제운용 구조를 더욱 진화 및 발전시켜 나갈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안보’ 분야를 별도 정책으로 확정하면서 대외적인 통상갈등에 적절히 대처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국 이익 보호에 분명한 의지를 보인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무협은 분석했다.

이원석 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이번 계획을 통해 국가가 민간기업을 포함한 국내경제 전반을 통제하는 중국만의 경제운용 모델이 더욱 정교하게 진화할 것”이라며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제 회복을 주도할 중국의 정책을 예의주시하고 기회 요인은 최대한 활용하고 위협요인은 미리 파악해 대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