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91조 원 발행...전년 대비 38조 원 '감소'

입력 2021-04-27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감독원)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91조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7조7000억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환액은 107조2000억 원으로 발행액을 웃돌았다.

2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0년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은 89조 원으로, 전년 대비 19조2000억 원 감소해 201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ELS 발행액은 69조 원으로, 전년 대비 30조9000억 원 감소했다. 이는 상반기 주가 급락에 따른 조기상환 급감, 이후 글로벌 증시 호황으로 인한 ELS 재투자 유인 감소 등에 기인한다.

공모발행 비중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85.7%→83.9%)했고, 원금보장형 발행 비중은 크게 증가(23.2%→38.6%)했다.

지수형 ELS 발행액은 47조 원으로, 비중은 전년(85.3%) 대비 17.2%포인트 하락한 68.1%를 기록했다. 종목형 ELS 비중은 22.2%로 전년(13.5%) 대비 8.7%포인트 증가했다.

기초자산별 발행규모는 S&P500(36조6000억 원), EuroStoxx50(31조1000억 원), KOSPI200(28조1000억 원), 홍콩H지수(19조1000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Knock­In 옵션이 포함된 ELS 발행규모는 21조9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9조2000억 원 감소했으나, 그 비중은 31.7%로 전년(31.1%)과 유사했다.

지난해 발행된 ELS는 은행신탁(26조4000억 원ㆍ38.2%), 퇴직연금(16조3000억 원ㆍ23.6%), 일반공모(15조2000억 원ㆍ22.0%)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중 ELS 상환액은 76조2000억 원으로 전년(100조1000억 원) 대비 23조9000억 원 감소했다. 이어 2020년말 기준 ELS잔액은 61조6000억 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9조4000억 원(13.2%) 감소했다.

지난해 DLS 발행액은 22조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조8000억 원 감소했다. 원금비보장형 발행은 작년 발행액의 절반 이하로 급감한 영향이다.

2020년 DLS 상환액은 31조 원으로 전년 대비 1조5000억 원 증가해 조기 상환액(17조6000억 원)이 만기 상환액(13조3000억 원)을 웃돌았다.

2020년말 기준 DLS 발행잔액은 27조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9조8000억 원 감소했다. 원금비보장형의 경우, 잔액과 비중 모두 급감했다.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운용 중 자체헤지 규모는 지난해말 53조3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7조4000억 원 감소했다. 자체헤지 비중(59.9%)은 소폭 증가했다. 백투백헤지 거래상대방은 여전히 외국계가 대부분(78.3%)이며, DLS가 ELS 보다 외국계 금융회사 의존도가 높았다.

지난해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자금 운용자산(헤지자산)의 평가금액은 98조2000억 원으로 부채평가액(89조9000억 원)을 8조3000억 원 초과했다.

투자자별로 살펴보면 파생결합증권 투자자의 투자이익은 규모(4조 원→2조7000억 원) 및 수익률(ELS 4.3%→3.2%, DLS 2.3%→1.0%) 측면에서 모두 악화했다.

증권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 손익은 -5337억 원으로 2016년 손실(-2608억 원) 발생 이후 다시 손실로 돌아섰다.

지난해말 기준 Knock-In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은 1조5000억 원으로, 전체 파생결합증권(89조 원)의 1.6% 수준이며, 이중 DLS는 1조2000억 원으로 전체 낙인 규모의 84.4% 차지했다.

금감원은 "파생결합증권 투자자 보호 및 시장건전화를 위해 발표한 그간의 제도개선방안이 조기에 정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며 "관련 제도 시행에 따른 시장영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