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중학생 학력 양극화 심해졌다

(서울교육정책연구소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서울 중학생들의 학력 양극화가 심각해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1일 서울시교육청 서울교육정책연구소가 내놓은 ‘코로나19 전후, 중학교 학교성취 등급 분포를 통해 살펴본 학교 내 학력격차 실태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관심군 학생이 2019년에서 지난해 진급할 때 학력 격차가 비교군 학생의 진급 때보다 더 컸다.

이 조사는 2019년 기준 중학교 2학년 학생을 관심군, 2018년 기준 중2 학생을 비교군으로 두고 코로나19 전후 학력 격차 양상을 비교했다. 관내 중학교 382곳의 2018∼2020년 3개년의 1학기 학업성취 등급을 분석했다.

관심군 중 중위권(B∼D등급) 비율을 보면 국어는 2019년 56.49%에서 2020년 43.54%로, 수학은 43.59%에서 28.68%로, 영어는 42.56%에서 33.72%로 모두 감소해 교과평균 12.2%포인트 줄었다. 중학생 성적은 절대평가로 산출되며 90점 이상이면 A등급, 80점 이상이면 B등급, 70점 이상이면 C등급, 60점 이상이면 D등급, 60점 미만이면 E등급이다.

비교군 중 중위권 비율 역시 국어 2018년 58.24%에서 2019년 54.28%, 수학 44.44%에서 38.99%, 영어 44.13%에서 42.26% 등으로 감소했으나 그 감소 폭은 교과평균 3.8%포인트에 그쳤다.

중위권이 줄면서 하위권(E등급)은 늘었다. 비교군 학생들의 경우 중2였던 2018년보다 중3이었던 2019년에 국·영·수에서 E등급 비율이 줄어든 반면 관심군 학생 중 E등급은 지난해 전년보다 세 과목에서 모두 늘어났다.

상위권인 A등급은 두 집단 모두 학년이 올라가면서 증가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를 겪은 관심군이 중위권 비율 감소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나 코로나19 이후 학력 양극화가 심화한 것으로 밝혀졌다”며 "A등급뿐 아니라 E등급도 증가하며 학업성취 양극화가 심화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