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 시장에 뛰어든 신한ㆍKB금융…빅테크와 경쟁 ‘지각변동’

입력 2021-04-20 09: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로나로 비대면 시장 확대, 가파른 성장에 주목

빅테크 전유물로 여겨졌던 간편결제 시장에 금융지주가 뛰어들면서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네이버 페이, 카카오페이 등 빅테크가 시장을 주도 하고 있지만, 금융지주는 은행, 카드, 증권사를 연동해 통합 금융서비스와 통합 리워드 서비스를 결합해 제공하는 등 차별화로 전략을 꾀한다.

◇신한페이 서비스 시작, 카카오ㆍ네이버페이에 도전장=신한금융 20일 ‘신한Pay(페이)’ 서비스를 시작한다. 신한페이는 신용·체크카드 결제 및 계좌결제, 선불결제 등을 활용해 신한카드의 모든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편결제 서비스다. 기존 신한카드의 ‘신한페이판’를 업그레이드해 출시했다.

신한금융은 신한페이 출시에 맞춰 ‘신한페이 계좌결제’ 서비스도 새롭게 선보였다. 신한은행 계좌를 보유한 고객이면 누구나 신한페이 계좌결제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체크카드를 간편하게 발급 받을 수 있다. 터치결제 기술을 활용해 전국의 모든 신한카드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실물카드 없이 결제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신한금융은 향후 신한페이 계좌결제 서비스를 신한금융투자, 제주은행, 신한저축은행 계좌 보유 고객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신한SOL(쏠)’등 그룹사 대표 앱과 연결성을 강화해 고객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높힐 계획이다.

‘신한페이’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송금·ATM 출금·환전·해외송금 등의 뱅킹 서비스 및 리워드·쿠폰 등 다양한 혜택도 제공한다.

은행 계좌가 없거나 계좌 개설이 어려운 고객을 위해 별도의 결제수단을 제공해 신한페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추가할 계획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카드 1위 사업자의 결제 인프라와 은행·금투 등 그룹사 시너지를 바탕으로 간편 결제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B금융은 지난해 국내 금융지주 최초의 통합 간편결제 시스템 ’KB페이‘를 출시했다. KB페이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는 물론 카드 이외의 결제 수단도 등록해 사용할 수 있다. 온오프라인 결제 편의성도 높였다. 실물 플라스틱 카드 없이 온라인, 현장 결제(MSR·WMC·바코드·QR), 해외 결제도 이용할 수 있다.

은행, 증권사, 저축은행 등 다양한 제휴 금융회사 계좌와 상품권·포인트 서비스 제공 사업자를 중심으로 등록 가능한 결제 수단을 확대할 예정이다.

◇코로나로 비대면 결제 급증, 간편결제 시장 성장성 주목= 신한과 KB가 간편결제 시장을 주목하고 있는 이유는 가파른 성장세 때문이다. 지난해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결제가 급증하면서 간편결제 서비스 규모도 급격히 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6년 11조7810억원이었던 간편결제 시장 규모는 2017년39조9906억원, 2018년 80조1453억원, 2019년 120조원까지 급증했다. 지난해 간편결제 서비스 하루평균 이용 건수는 1455만건, 이용액은 4492억 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44.4%, 41.6% 증가했다.

간편결제 시장은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NHN페이코 등 빅테크와 핀테크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해 네이버페이의 거래액이 25조 원을 넘었으며, 가입자는 2800만 명을 돌파했다. 카카오페이도 거래액이 67조 원을 넘기고, 가입자 수는 3500만 명을 넘어섰다.

빅테크와 핀테크뿐만 아니라 유통업계에서도 채널·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간편결제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신세계의 ‘SSG페이’와 롯데의 ‘엘페이’, 쿠팡의 ‘쿠페이’, 이베이코리아의 ‘스마일페이’ 등이 대표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