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 수학 영향력 커지나…“문과생 불리” 현실로

입력 2021-04-19 14: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월 학평 수학 1등급 94% 이과생…“국어 점수로 만회 어려울 듯”

▲지난 3월25일 오전 광주 서구 광덕고등학교에서 올해부터 달라지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체제에 맞춘 첫 고등학교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처음으로 문·이과 계열 구분 없이 치른 첫 모의평가 성적이 최근 공개된 가운데 수학 1등급을 받은 학생 94%가 이과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대로 가면 11월 18일 실시되는 문·이과 통합 수능에서 문과생이 크게 불리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19일 입시 업체 등에 따르면 전국 1874개 고등학교 3학년 34만6950명의 3월 학력평가 성적을 분석한 결과 수학 선택과목 중 문과 학생이 주로 응시한 '확률과 통계'는 평균 30.54점이었지만 이과 학생이 대부분 선택한 '미적분'은 50.58점으로 20점 이상 차이가 났다.

지금까지 학생들은 국어·영어만 공통으로 시험을 보고 수학과 탐구 영역은 따로 과목을 선택해 치렀다. 하지만 올해부터 문·이과생이 함께 수학 공통 과목 시험을 보고 '확률과 통계·기하·미적분 세 과목 중 하나를 선택해 치러야 한다. 일반적으로 문과는 확률과 통계, 이과는 기하나 미적분을 선택한다. 등급과 점수는 문·이과생 전체를 모집단으로 통합해서 산출한다.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가 일반고 14곳, 자사고 2곳 등 서울 지역 16개 고등학교 3학년 4451명의 성적을 분석한 결과 3월 학평에서 수학 1등급을 받은 학생 가운데 88.5%가 미적분을, 5.5%는 기하를 선택해 이과생 비율이 사실상 94.0%에 달했다.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수험생 중 1등급을 받은 비율은 6.0%에 그쳤다.

수학 2등급의 83.4%, 3등급의 80.0%도 미적분·기하 선택 학생이 차지해 압도적인 이과 우위를 나타냈다. 5등급을 받은 학생 가운데 54.1%가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문과생 열세가 뚜렷했다.

교육계에서는 통합형 수능 시행에 따라 수학 성적이 대입의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소로 떠오른 만큼 문과생들의 고전이 불가피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수능에서도 이러한 난이도가 유지될 때 수학에서 상위권 학생이 잘 못 봤을 경우 국어 점수로 만회가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로 수학 변별력이 대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며 "문·이과 통합 수능에서 수학 과목 중 문·이과가 같이 보는 공통과목에서 결정적 변별력 발생한 듯하다"고 말했다.

이어 "문·이과 통합 수능에서는 수학 과목이 국어 과목보다 표준점수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커진 만큼 국어보다 수학이 중요 과목으로 부상했다"며 "수학에서는 공통과목인 수학 1, 2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