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효과'에 재건축 대어들 단숨에 '2억' 껑충

강남 재건축 단지들, 서울시장 선거 끝나자마자 호가 '천정부지'
목동ㆍ상계동 등도 들썩
"서울 집값 불안 초래" 회의론도

서울 주택시장에 이른바 '오세훈 효과'가 거세다.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으로 10년간 꽉 막혔던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활성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강남북을 가리지 않고 재건축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들썩이고 있다.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이 간신히 안정을 찾은 주변 집값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1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2차 전용면적 160㎡형은 서울시장 선거전이 한창이던 지난 5일 54억3000만 원에 팔렸다. 지난해 신고가인 43억 원(2020년 12월) 대비 11억 원 넘게 뛴 가격이다. 현재 최고 호가(집주인이 부르는 가격)는 58억 원에 달한다.

34억 원에 매수자를 기다리던 압구정3구역 현대 1·2차 전용 131㎡형 역시 오 시장 당선 뒤 36억 원으로 호가가 뛰었랐다.

대치동 은마아파트에선 지난달 전용 76㎡형이 22억4000만 원의 신고가에 팔린 뒤 현재 최고 24억3000만 원을 호가한다.

이같은 분위기는 양천구 목동과 노원구 상계동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작년 20억5000만 원으로 신고가를 기록했던 목동 신시가지 4단지 전용 115㎡형은 지난달 22억7500만 원에 최고가 거래 기록을 새로 썼다. 현재 호가는 23억 원이 넘는다. 재건축 추진 아파트인 상계주공6단지 전용 58형㎡형은 올해 2월 처음으로 8억 원 돌파한 뒤 최근 8억1000만~8억3000만 원에 연이어 계약이 체결됐다.

재건축 단지들의 몸값이 가파르게 뛰는 건 오 시장이 선거 내내 강조한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약속 때문이다. 오 시장은 선거 기간동안 재개발·재건축 정상화로 18만5000가구를 공급하겠다고 공언했다. 한강변 35층 이하 규제 해제를 내비치며 '50층 개발' 기대감도 키웠다.

시장에선 오 시장이 공약한 것처럼 재건축 인허가 과정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안전진단을 모두 통과하고도 인허가에서 발목이 잡힌 재건축 대어(大魚)를 중심으로 후속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크다. 앞서 오 시장은 후보 시절 한 토론회에서 △강남 대치동 은마·미도아파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여의도 시범·공작아파트 등 도시계획위원회에 계류돼 사업이 막힌 단지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오세훈 효과에 대한 회의론도 적지 않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와 분양가 상한제 등 정비사업 추진을 가로막는 규제를 통제하는 건 중앙정부다. 서울시의회도 여당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용적률 등에 대한 조례 개정에서도 난항이 예상된다. 오 시장이 공약을 얼마나 실천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오 시장의 공약 이행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재건축 시장에 대한 기대심리가 집값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은 우려할만한 부분이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서울시와 정부 간 정책적 충돌로 재건축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경우 집값만 올려놓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