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철ㆍ철광석 가격 상승에도 철강사, "일단 실적 괜찮다"지만

입력 2021-03-01 10:00수정 2021-03-01 17: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 회복으로 원재료 가격 인상분 제품에 반영할 수 있어

▲포스코 직원이 포항제철소 고로에서 녹인 쇳물을 빼내고 있다. (사진제공=포스코)

철강제품의 원재료인 고철(철스크랩), 철광석의 가격이 대내외적 변수로 급등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원재료 가격 인상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철강업체들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전망이다.

1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고철 평균 가격은 톤(t)당 39만5000원까지 올랐다.

한때 40만 원을 넘었던 올해 1월보다는 안정됐다. 하지만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10만 원 이상 높다.

고철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건설 경기가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초 정부는 2025년까지 83만6000호의 주택을 공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주택 건설이 본격화되면 고철로 만들어진 철근, 형강 수요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의 수요 증가도 우리나라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중국이 환경 규제를 지키기 위해 고로 대신 고철이 사용되는 전기로 가동률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철광석 가격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철광석(중국 칭다오항) 가격은 지난달 25일 기준 톤당 174.24달러이다.

올해 1월과 비교했을 때 약 10달러 증가했다. 예년보다는 2배 이상 올랐다.

철광석 가격의 급등은 철강사들도 예상하지 못했다.

포스코는 올해 1월에 열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철광석 가격이 올라가고 있지만 톤당 165달러가 넘는 시황은 계속되지 않는다”며 “올해 상반기에는 145달러 선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철광석 가격 상승세는 주요 국가들의 경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살아날 조짐을 보인 데 따른 결과다.

실제 미국 등 일부 국가는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브라질 광산업체인 발레가 올해 철광석을 시장 기대치보다 낮은 3억3500만 톤을 생산할 수 있는 만큼 철광석 가격 상승세는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원재료 가격 상승에도 철강사들의 표정은 나쁘지 있다. 코로나19 쇼크로 전방 사업이 움츠러들었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경기가 회복돼 철강사들이 제품 가격을 올릴 수 있다.

올해 초 톤당 70만 원이었던 국산 철근 유통가격은 지난달 중순 75만 원까지 올랐다. H형강 가격은 지난해 하반기보다 15만 원 비싸졌다.

열연강판의 경우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이달 톤당 5만 원 인상할 예정이다.

다만, 철강업계 관계자는 “백신이 나왔지만 코로나19 확산세는 어떻게 전개될지 여전히 예측하기 어렵다”며 “전방 사업이 또다시 악화하면 철강업체들의 실적도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