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올바른 지방 쓰는 법 "'현고학생부군신위' 기억하세요!"

입력 2021-02-12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게티이미지뱅크)

2021년도 설 명절을 맞아 차례상을 앞두고 올바른 '지방 쓰는 법'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설날 차례상에 지방 쓰는 방법은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의 한지(백지)를 사용한다.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신 경우 중앙에 쓴다.

지방에는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이름을 적은 후 마지막에 신위(神位)라고 적는다.

대개 지방을 쓸 때는 한자로 적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지방을 쓰는 집안도 늘어나고 있다. 이 때는 '어머님 신위', '아버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쓸 수도 있고 한자의 우리말 표기만 써서 '현고학생부군신위'와 같이 쓰기도 한다.

이는 부모의 제를 지낼 때 지방에 쓰는 문구다. '현고학생부군신위'의 경우 현고는 제사 주체와의 관계를 뜻한다. 학생은 고인의 직위를 나타내며, 부군은 남성을 뜻하고 여자일 경우엔 본관 성씨를 기입한다. 신위는 고인의 자리란 뜻으로, '현고학생부군신위'를 풀어 말하면 '아버님, 어떠어떠한 벼슬을 지낸 어르신의 자리'를 말한다.

차례를 지낸 후 지방은 태우는 것이 일반적인 예법이며, 이를 소지(燒紙)라고 한다. 이는 조상신에게 소원을 비는 의례이며, 조상을 보내며 배웅을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