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0여개 점포를 정리하겠다고 밝힌 롯데그룹은 이미 100여개 매장의 문을 닫고 주요 계열사 직원들의 휴직이 이어지고 있지만 점포 구조조정은 아직도 진행중이다.
롯데뿐만이 아니다. 신세계, 현대는 물론 갤러리아까지 대부분의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이 몸집을 줄이고 있다. 야심차게 문을 연 점포를 매각하는가 하면 매출 부진점의 문을 닫고 인력 구조조정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커머스를 강화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신세계그룹은 지난해말 인사에서 백화점과 이마트의 임원수를 각각 20%, 10% 가량 줄였다. 이마트는 '삐에로쑈핑'과 '부츠' 등 전문점을 정리하면서 자연스럽게 구조조정도 이뤄졌다. 점포당 적게는 몇 명에서 많게는 수십명의 직원이 일자리를 잃었다.
한화갤러리아는 지난해 12월 한화솔루션에 흡수합병됐다. 앞서 한화갤러리아는 2019년 적자 사업인 면세점 사업에서 철수했고 수원점과 천안점에 이어 가장 최근 오픈한 광교점까지 매각하는 초강수를 뒀다.
직원 99%를 정직원으로 바꾸며 위기 속의 리더십이 돋보였던 홈플러스도 지난해 안산점·대전탄방점·대전둔산점·대구점의 점포 자산 유동화를 단행했다. 홈플러스는 최근 임일순 대표까지 사임의사를 밝혀 위기관리가 절실한 상황에서 수장이 떠나는 상황에까지 직면했다.
면세시장은 더 심각하다. 하늘길이 끊긴 면세점들은 대부분 개점휴업 상태에서 무급휴직을 진행 중이다. 무급휴직으로 직원 급여 부담이 줄었음에도 롯데ㆍ신라ㆍ신세계 면세점은 영업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롯데는 110억 원, 신라는 142억 원, 신세계는 205억원의 적자를 감수해야 했다.
위기의 오프라인 유통업계는 몇년 전부터 이커머스로 반전을 꾀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대·중소기업 상생협력법 개정안’에 이커머스를 포함시키는 조항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당정이 2월 임시국회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는 개정안에는 중개플랫폼과 새벽배송에 대한 규제가 포함돼 벌써부터 논란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농민과 중소 식품기업, 소상공인이 유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소기업유통센터가 SSG닷컴, 마켓컬리 등에 중소상공인의 입점을 지원한 결과 참여 중소상공인들의 매출은 최소 45%에서 4배까지 늘었다. 이커머스 규제가 시행될 경우 중소상인의 매출 급감은 불보듯 뻔하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일자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유통업계의 구조조정을 앞당기는 규제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며 “상생이 아닌 희생만 강요하는 정책은 오히려 중소상공인과 대기업의 공멸을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소비침체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유통업계가 일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규제를 유예하거나 한시적으로 풀어주는 제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