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배추에 월동배추까지…공급과잉 우려에 배추 1.8만 톤 시장 격리

입력 2020-12-29 14: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1월 초까지 시장격리, 이후 물량 조절 대책

▲배추 경매가 한창인 서울 송파구 가락시장 청과시장. (뉴시스)

가을배추와 월동배추까지 배추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부가 배추 출하를 막는 등 가격 하락 대책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김장 이후 배추 공급 과잉과 소비 위축에 따른 가격 하락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선제적 수급 대책을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월동배추 재배면적은 평년 대비 3.6% 증가했고 생산량은 2.9% 늘어난 29만9000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생산 단수는 모종 옮겨심기 지연, 생육기 일시 저온 현상 등으로 평년보다 0.7% 줄었지만, 최종 단수 감소 폭은 이보다 작을 전망이다.

여기에 김장배추 소비가 줄어 시장에서 물량이 해소되지 못할 경우 가을배추 2만2000톤이 이월돼 공급 과잉이 심화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월동기 배추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공급 과잉 예상 물량을 전부 시장격리하기로 했다. 그 시기는 시장 상황의 변동성을 고려해 2단계로 나눠 진행한다.

먼저 이달 말부터 내년 1월 초까지 1만8000톤을 시장 격리한다. 채소가격안정제를 활용해 가을배추 3000톤과 월동배추 7000톤 규모의 면적을 조절하고 한파와 설 명절에 대비해 배추 2000톤을 수매 비축한다. 가을배추 2000톤과 월동배추 4000톤에 대한 농가 자율감축도 병행해 추진한다.

내년 1월 중순부터는 2단계 조치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감축 노력을 전제하고, 나머지 공급과잉 물량을 전부 격리하되 이전 대책의 효과와 한파 등 기상 여건을 검토해 조치 규모를 결정하기로 했다.

특히 월동배추 주산지인 전남과 해남군의 자율 감축을 추진하고 긴급가격안정자금을 활용해 시장격리하는 동시에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수매 비축을 검토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