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그냥 쉰’ 인구 235.3만명…5명 중 1명 대졸자

입력 2020-12-27 10: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졸자 중 그냥 쉰 20~30대 19.3만명…전년동기대비 40.4%↑

지난달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쉰 20~30대 4년제 대학 졸업자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하며 20만 명에 육박했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쉬었음’ 인구는 235만 3000명이며 이 중 대졸자는 48만 6000명(20.7%)으로 집계됐다. 쉰 사람 5명 중 1명이 대졸자인 셈이다.

또 지난달 전체 쉬었음 인구는 통계 기준을 바꿔 작성한 2003년 이후 11월 기준으로 최대였다. 지난달 대졸 쉬었음 인구를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10만 6000명, 30대가 8만 7000명이었다. 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20∼30대 19만 3000명의 대졸자가 그냥 쉰 것이다. 이는 전년 동기(13만7000명) 대비 5만 6000명(40.4%) 증가한 수치다.

특히 20대가 지난해 7만 명에서 올해 10만 6000명으로 51.6%(3만 6000명) 급증하면서 10만 명을 넘어섰다. 40대는 5만 8000명, 50대 7만 8000명, 60세 이상 15만 8000명 등이다.

지난달 그냥 쉰 20~30대 가운데 대졸자(19만3000명)와 대학원 졸업자(7000명), 초대졸자(14만6000명)를 모두 합치면 34만 6000명이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가 넘은 인구 가운데 일할 수 있는 능력이나 일을 할 의사가 없는 사람을 지칭한다. 그중에서도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취업 준비, 가사, 육아 등을 하지 않고 말 그대로 그냥 쉰 사람을 뜻한다.

연령대별 쉬었음 인구 증가 폭은 20대도 가장 컸다. 지난달 20대 쉬었음 인구는 1년 대비 8만 8000명(26.8%) 늘면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30대는 3만 9000명(17.1%), 40대 3만 3000명(14.1%), 60세 이상 6만 8000명(7.7%) 증가했다. 50대(-3.9%)는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구직단념자는 63만 1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만 4000명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하지만, 노동시장적 사유로 일자리를 구하지 않은 사람 중 지난 1년 내 구직 경험이 있었던 사람을 말한다. 지난달 구직단념자 가운데 20대는 23만 2000명, 30대는 10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구직단념자 중 절반 이상(53.1%)은 20∼30대 청년층이었던 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