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방송서비스, 전년 대비 VOD 광고시간ㆍ콘텐츠 다양성 개선

입력 2020-12-23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VOD 광고 시간.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올해 유료방송서비스가 지난해보다 콘텐츠가 다양해졌으며 주문형비디오(VOD) 광고시간과 셋톱박스 시작시간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IPTV(3개사), 케이블TV(14개사), 위성방송(1개사)을 대상으로 방송서비스 품질평가를 해 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는 유료방송서비스에 대한 객관적인 품질정보 제공 및 사업자 간 품질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는 기존 평가 대상사업자(9개사)에 지역의 개별 케이블TV(9개사)를 포함해 전체 유료방송사업자로 평가 대상을 확대했다.

평가 항목은 VOD 광고시간ㆍ횟수, 콘텐츠 다양성, 채널전환시간, 셋톱박스 시작시간, 채널 음량 수준, 영상 체감품질, 이용자 만족도 등 7개다. 평가 결과 지난해 대비 VOD 광고시간, 콘텐츠 다양성, 셋톱박스 시작시간은 개선되고, 채널별 음량 수준은 기준을 충족했으며 영상 체감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VOD 광고 시간은 평균 16.12초로 지난해 19.60초 대비 3.48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별 VOD 광고시간은 IPTV 21.60초, 케이블TV(MSO) 12.83초로 나타났다.

▲셋톱박스 시작시간.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콘텐츠는 실시간 채널 수가 평균 261.6개, VOD는 평균 3만4559편으로 조사됐다. 매체별 실시간 채널 수는 IPTV가 281.0개로 가장 많았으며 케이블TV(MSO) 255.8개, 위성방송 233개로 조사됐다. VOD는 IPTV 3만6326편, 케이블TV(MSO) 3만3498편이다. 채널전환시간은 평균 1.30초로 조사돼 지난해 1.36초와 비교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톱박스 시작시간은 3.04초로 조사되어 지난해 3.68초 대비 0.64초 단축됐다.

채널별 음량 수준 평가 결과 사업자별 전체 채널의 음량 수준 평균은 -25.03LKFS이며, 채널별 음량 편차는 1.28dB(데시벨)로 조사됐다. 방송프로그램별 음량 허용오차(±2dB)를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 체감품질은 평균 4.57점으로 지난해 4.59점과 비슷했으며 이용자만족도는 평균 60.1점으로 지난해 59.8점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LKFS(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는 사람이 실제 듣는 상대적인 크기를 고려해 계산된 음량값의 표준이다.

송재성 과기정통부 방송진흥정책관은 “2018년에 처음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를 한 이래로 전반적으로 품질이 향상돼 품질평가를 통한 유료방송서비스 품질개선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평가방식, 항목 등을 지속해서 개선ㆍ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