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육아휴직 사용자 4.5% 증가…남성은 26.7% 급증

입력 2020-12-22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계청 '2019년 육아휴직통계'…대규모 기업체 쏠림은 여전

(자료=통계청)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가 전년보다 4.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 수가 26.7% 급증했다.

통계청은 22일 발표한 ‘2019년 육아휴직통계’ 결과에서 지난해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대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한 사람이 15만9153명으로 전년보다 6912명(4.5%) 증가했다고 밝혔다. 여성 육아휴직자는 12만7455명으로 전년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남성은 3만1665명으로 6678명(26.7%) 늘었다. 연령별로 남성은 35~39세(45.2%), 여성은 30~34세(40.9%)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았다.

육아휴직자 수는 기업체 규모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해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의 69.6%, 여성의 63.4%는 300명 이상 기업체 소속이었다.

출생아 100명당 당해연도 육아휴직자 수는 22.8명으로 1.6명 증가했다. 남성은 1.3명, 여성은 21.4명이었다. 남성의 당해연도 육아휴직자 수가 적은 건 기존에 부부 동반 육아휴직이 제한돼서다. 통상 여성이 출산전후휴가에 연이어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여성 복귀 후 남성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출산기, 남성이 취학기에 육아휴직을 많이 사용하는 점도 남성의 당해연도 육아휴직자 수가 적은 배경 중 하나다.

지난해 출생아를 대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의 연령별 구성비를 보면, 35~39세(40.7%)와 30~34세(36.7%)가 77.4%를 자치했다. 여성은 30~34세(51.8%)와 35~39세(25.9%)가 77.7%를 차지했다. 전체 육아휴직자와 마찬가지로 당해연도 육아휴직 부모의 63.3%가 300인 이상 기업체에 소속돼 있었다.

지난해 출생아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률(대상자 대비 사용자 비율)은 21.6%로 전년보다 0.9%포인트(P) 올랐다. 남성은 1.8%, 여성은 63.6%였다.

2010년 출생아 100명당 전 기간(만 0~8세) 육아휴직을 사용한 부모는 19.6명으로 집계됐다. 남성은 1.8명, 여성은 17.8명이었다. 여성은 69.1%가 자녀가 1세 이하일 때, 남성은 51.0%가 자녀가 6세 이상일 때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남성의 전 기간 육아휴직 사용이 저조한 건 2010년 남성 육아휴직자가 1962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의 2.7%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해 출산모의 41.7%는 출산일 기준으로 직업을 갖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출산일 360일 전(51.8%)과 비교해선 직업 보유율이 10.1%P 하락했다. 그나마 직업 보유율은 매년 높아지는 추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