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기숙사 확충' 대학-주민 갈등 '중재'…건축 허가

입력 2020-12-14 15: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제공=성동구)

'기숙사 신축'을 놓고 한양대학교와 지역사회 사이에서 발생한 갈등이 마침내 봉합됐다.

14일 성동구 등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한양대학교 제6, 제7 학생생활관(기숙사)의 건축 허가가 승인됐다. 제6 생활관은 지하 3층~지상 7층 200실, 제7 생활관은 지하 2층~지상 7층 403실 규모로 1198명을 수용할 수 있다. 기존 기숙사 정원 2184명까지 더하면 총 3382명이 기숙사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양대와 사근동 지역 주민의 갈등은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양대는 199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숙사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서울시 주요 대학보다 낮은 기숙사 수용률로 인해 한양대 학생들의 주거난이 심각해지자 신축 기숙사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인근 주민들은 원룸 운영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데 기숙사가 들어서면 생존권을 위협받는다며 반대에 나섰다.

갈등의 골이 깊어지자 성동구는 중재에 나섰다. 성동구는 기숙사 설립 이후 공실을 우려했던 주민들에게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한양대도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먼저 성동구는 전국 최초로 반값 원룸 ‘성동한양 상생학사’를 만들었다. 성동구와 한양대학교, 집주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협력한 것으로 주민은 월세를 일부 낮추고 구와 LH, 한양대학교가 함께 보증금과 월세를 지원해 주는 방식이다. 현재 1호점을 운영하고 있다.

성동구는 기숙사 설립 후 공실이 될 수 있는 지역 원룸 등을 상생학사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주민들은 안정적인 임대 수입을 보장받고, 학생들은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 주거 선택권을 넓힐 수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공실 발생을 우려했던 지역주민들에게 ‘상생학사’ 등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설득하면서 갈등 요소를 원만히 해결했다”며 “한양대의 동참, 특히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력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