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위해 경북 성주군 부지를 주한미군에 공여한 것은 위법하다며 주민들이 정부를 상대로 낸 소송이 1심에서 각하됐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재판장 안종화 부장판사)는 11일 정모 씨 등 성주·김천 주민 392명이 "사드 부지 공여를 승인한 처분을 취소하라"며 외교부 장관을 상대로 낸 소송을 각하했다. 각하는 소송·청구가 적법하지 않거나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내리는 결정이다.
주민들은 정부가 미군에 사드 부지를 제공한 것은 현행 '국유재산특례제한법'을 위배해 법적 근거가 없는 특례를 준 것이라며 2017년 4월 소송을 제기했다.
국유재산특례제한법 4조는 '국유재산특례는 별표에 규정된 법률에 따르지 않고는 정할 수 없다'고 규정하는데, 별표엔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이나 SOFA를 이행하기 위한 특별법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 주민들의 주장이다.
또 정부가 주민들의 건강이나 환경 등에 미칠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고 부지를 공여해 주민들이 환경오염과 소음, 전자파 등으로 직접적인 피해를 보게 됐다고도 주장했다.
관련 뉴스
정부는 미국과 한국이 외교적으로 대등한 관계에서 협의했을 뿐 한국 정부가 부지를 공여하도록 승인한 것은 아니라며 맞섰다.
미군은 주민들이 소송을 낸 지 5일 뒤 한밤중에 발사대와 레이더, 교전통제소 등 사드 핵심 장비를 성주 골프장 부지로 옮기는 등 이후에도 여러 차례 장비를 반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