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한잔] “2050년 실현 목표”…이산화탄소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은?

입력 2020-12-14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퀴즈한잔’은 매일 한 문제씩 이투데이와 함께하는 경제 상식 퀴즈입니다! 매일 아침 커피 한 잔을 마시듯 퀴즈를 풀며 경제 상식을 키워나가세요!

탄소 배출을 상쇄해 이산화탄소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

문재인 대통령은 이달 10일 “2050년까지 ‘이것’을 실현하겠다”면서 “이를 위해 정부 정책역량을 집중할 것”을 밝혔다. 이것은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양만큼 나무를 심거나 청정에너지에 투자해 오염을 상쇄하는 것으로 이미 지난해 12월 유럽연합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에서 이 선언을 이어갔다. 이것은 무엇일까?

정답은 ‘탄소 중립’(Carbon Neutral)이다.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고 해서 ‘탄소 제로’(Carbon Zero)라고 불리기도 한다. 개인, 회사, 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양을 계산해 그만큼 나무를 심거나, 풍력·태양력 발전과 같은 청정에너지 분야에 투자해 오염을 상쇄한다.

탄소 중립은 2016년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 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며 화두로 떠올랐다. 여기에 올해 기후 변화의 심각성이 본격적으로 대두하고,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의 국제연합(UN) 제출 시한이 다가오면서 중국, 일본을 비롯한 주요국의 탄소 중립 선언이 이어졌다.

일각에서는 탄소 중립만으로는 부족하며 더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레타 툰베리를 비롯한 30여 명의 기후활동가는 올해 3월 공개서한을 내고 “‘2050년 탄소 중립’은 항복과 다름없다”면서 “10년, 30년 뒤 목표가 아닌 현재의 목표가 필요하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문 대통령은 이날 생중계를 통해 ‘대한민국 탄소 중립 선언’(더 늦기 전에 2050)을 발표하며 탄소 중립에 국가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 밝혔다. 그리고 “기후위기 대응을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의 기회로 삼아 국제사회를 선도하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여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탄소 중립을 위한 3대 목표로 △산업·경제·사회 모든 영역에서의 탄소 중립 강력 추진 및 재생에너지·수소·에너지 IT 등 3대 신산업 육성 △저탄소 산업 생태계 조성 △소외 계층·지역이 없는 공정한 전환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