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중국 판호 발급 지속, 정부 노력에 달렸다

입력 2020-12-06 14: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약 4년이 걸렸다. 국내 게임이 중국 시장에서 서비스 할 기회를 얻은 기간이다.

이 기간에 국내 게임사들은 해외 매출을 늘리기 위해 북미와 유럽, 동남아 등으로 눈을 돌리고 서비스 지역을 확대했다. 전 세계 최대 시장으로 꼽히는 중국이 문을 닫아 어쩔 수 없이 한 선택이었다.

중국 진출이 막힌 이후, 아이러니하게도 국내 게임 시장은 중국게임과의 전쟁판이었다. 중국 현지에서 개발된 게임들은 어설픈 한국어 번역을 진행하고 국내 시장에 들어왔다. 모바일 게임 지식재산권(IP)은 과거 국내에서 인기를 얻은 것들이 대부분이었기에 이용자들은 국내 게임으로 착각할 정도였다.

중국의 외자판호 발급은 부익부 빈익빈 상태에 놓인 게임업계에 활력을 불어 넣어줄 전망이다. 일부 메이저 기업을 제외하고 국내 게임업계는 대부분 적자에 허덕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시장의 파이는 한정돼 있는데 중국 게임이 들어와 경쟁하다 보니 수익은 줄어들고, 새로운 게임은 개발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그동안 소비자 피해도 있었다. 규제 없이 국내에 진출한 중국산 게임들은 반짝 이벤트를 통해 단기간 매출을 끌어올렸고, 이후 업데이트 없이 서비스를 종료하거나 방치한 사례도 있다. 이에 피해를 본 이용자들은 십시일반 모여 소송을 진행하기도 했지만, 소재지가 해외에 있는 만큼 기대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대부분 울며 겨자 먹기로 포기했다. 정부가 판호문제에 대해 손 놓고 있는 동안 소비자들은 작게나마 모여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중국 판호 문제는 개별기업이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중국이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앞두고 양국 간의 정상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의견도 나오지만, 의도가 어쨌든 외자판호 발급은 충분히 반길만하다는 것이 게임업계의 의견이다. 국가와 국가의 문제로 시작된 사태인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외교부 등 정부의 해결 의지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