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미전실 해체 3년]삼성 경영 곳곳 혼선… "새로운 컨트롤타워 세워라"

입력 2020-11-29 14:00수정 2020-11-29 17: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전실 부재로 인한 혼선 잇따라
새로운 방식의 컨트롤타워 구축해야

▲삼성 미래전략실이 해체된지 3년이 되가고 있는 가운데, 컨트롤타워 부활의 목소리가 그룹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이투데이 DB)

‘비서실-구조조정본부-전략기획실-미래전략실’로 이어진 삼성그룹의 컨트롤타워는 삼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킨 주역 중 하나다.

고(故) 이병철, 이건희 회장이 그룹의 나아가야 할 방향과 큰 그림을 제시하면, 컨트롤타워는 이 회장의 청사진을 구체화할 방안들을 논의하고 계열사 간 역할 조정을 했다.

지난 2004년 일본 니케이비즈테크는 ‘삼성, 역전의 방정식’이란 특집에서 삼성이 가진 강한 힘의 원천으로 총수의 리더십과 함께 당시 삼성 컨트롤타워였던 구조조정본부를 꼽기도 했다.

하지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국정농단 사태의 한 원인으로 삼성 미래전략실을 꼽으면서 비판 수위를 높이자 2017년 3월 미래전략실을 전격 해체했다.

컨트롤타워 해체 후 3년 가까이가 지나면서, 삼성그룹의 컨트롤타워 부활 필요성에 대한 재계 안팎이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룹 경영 곳곳에서 컨트롤타워 부재로 인한 혼란과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탓이다.

삼성은 미전실 해체 후 사업지원·EPC(설계ㆍ조달ㆍ시공)경쟁력강화·금융경쟁력강화 등 3개 소규모 TF를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생명 내에 각각 만들어 과거 미전실 역할을 일정 부분 부여했지만, 한계가 명확하다. TF 체제 2년여 동안 삼성이 해결한 굵직한 현안은 순환출자 해소 외에 눈에 띄지 않는다.

계열사 간 중복 투자는 물론이고, 사업 방향이 엇박자를 내는 경우도 종종 목격되고 있다. 그룹 차원의 인재 채용이나 사회공헌 활동도 계열사별로 이뤄지면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삼성전자가 지난 2016년 미국 전장 기업 ‘하만’을 약 10조 원에 인수한 후 대형 인수ㆍ합병(M&A)도 나오지 않는다. 최근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대형 인수합병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과 사뭇 다르다.

삼성 계열사 한 관계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룹 M&A 전략을 주도한 미래전략실의 부재도 삼성이 M&A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경묵 서울대 경영학부 교수는 “다양한 계열사를 두고 있는 대기업은 기본적으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며 “그래야 계열사 간 사업과 인력 관리, 비용 효율성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고, 계열사 CEO들의 도덕적 해이를 통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출처=각사)

실제로 SK, 롯데, 포스코 등 다른 대기업들은 대부분 컨트롤타워를 갖추고 있다. 지주회사가 계열사 조정 역할을 하는 LG 같은 곳도 있다.

문제는 유독 삼성 컨트롤타워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인 시각이다. 과거와 같은 형태가 아닌, 새로운 컨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교수 시절 삼성 저격수로 평가받던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도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시절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삼성은 기존의 미래전략실과 다른 새로운 컨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법으로는 대주주인 국민연금이나 기관투자가의 동의 아래 전문경영인들을 중심으로 한 컨트롤타워 등이 언급된다. 과거 미래전략실이나 구조조정본부와는 다른, CEO 간의 협의체로 컨트롤타워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