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순영업소득 26.3% ↓

입력 2020-11-10 10: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중대형 평균 순영업소득 전분기 대비 31.7% 떨어지며 가장 크게 감소

▲올해 전국 주요 도시 중대형상가 순영업소득 추이. (자료 제공=상가정보연구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상가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중대형 상가의 순영업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상가정보연구소가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1㎡당 평균 순영업소득은 2만3500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분기 평균 순영업소득(3만1900원) 대비 8400원(26.3%) 감소한 금액이다.

순영업소득이란 상가의 임대수입(임대료)과 기타 수입(옥외 광고비 등)을 더한 금액에 상가의 영업경비(상가 유지관리비, 재산세, 보험료 등)를 제외한 소득이다. 소득세와 부채 서비스 금액은 영업경비에 포함되지 않는다.

중대형 상가의 순영업소득 감소는 코로나19 확산이 시작한 올해 1분기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4분기 전국 순영업소득(3만3300원)을 기점으로 △2020년 1분기(3만2200원) △2020년 2분기(3만1900원) △3분기(2만3500원)까지 3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평균 순영업소득이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서울이다. 서울 중대형 상가의 3분기 순영업소득은 4만100원으로 전 분기(5만8700원) 대비 1만8600원(31.7%) 줄었다. 그 외 △대구(7100원 감소) △울산(6100원 감소) △경기(5900원 감소) △인천·부산·광주(5600원 감소) △대전(5100원 감소) 등으로 나타났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상가 시장이 침체하면서 임대인도 큰 타격을 받고 있다"며 "상가시장의 침체된 분위기는 일부 특별한 상권을 제외하고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