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3분기 영업이익 710억 전년비 10.9%↑…매출은 30% 감소

입력 2020-11-05 16:21수정 2020-11-05 17: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CJ ENM)
CJ ENM이 3분기 코로나19와 CJ헬로 매각 영향으로 매출이 전년보다 30%가량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신장했다. 다만 CJ헬로 매출분을 제외하면 매출 감소 폭은 12%대로 줄어든다.

CJ ENM은 5일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7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7986억 원으로 30.7% 줄었고 순이익은 326억 원으로 5.4% 늘었다.

미디어 부문은 주요 콘텐츠의 높은 시청률과 화제성에 힘입어 매출액 3706억 원, 영업이익 293억 원을 기록했다. TV 광고 시장 침체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줄었지만, 디지털 매출 고성장 및 제작비 효율화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82.1% 증가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특히, 티빙 유료가입자 수 증가를 포함한 디지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4.4% 증가하며 양호한 성장을 했다. 4분기에는 드라마 신규 콘텐츠 화제성을 극대화하고 디지털 채널과 티빙을 포함한 디지털 매출 기반의 수익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커머스 부문은 매출액 3443억 원, 영업이익 424억 원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 상황에 맞춘 식품, 리빙, 유아동 등 언택트 수요 상품군의 집중 편성, ‘더엣지’, ‘오덴세’, ‘시크릿’ 등 자체 브랜드 취급고의 증가,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매출 강화가 실적 개선을 주도했다. 4분기에는 패션, 리빙, 가전을 중심으로 상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자체 브랜드를 늘리는 한편, 모바일 플랫폼 개편과 디지털 전용 상품의 확대를 가속한다.

영화 부문은 매출액 369억 원, 영업손실 41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가 관객 수 436만 명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으나, 코로나19로 위축된 극장 시장 여파로 실적이 감소했다. 4분기에는 ‘도굴’, ‘서복’ 작품 개봉, 흥행 지식재산권(IP) 기반 해외 기획·개발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해 어려운 시장 환경에 대응한다.

음악 부문은 매출액 469억 원, 영업이익 35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언택트 콘서트 사업 확대 및 글로벌 향 IP를 기반으로 한 음반·음원 매출이 수익성 개선을 견인했다. 4분기에는 국내외 앨범 발매를 비롯 온라인 콘서트 사업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CJ ENM 관계자는 “3분기에는 티빙 물적분할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고 네이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를 이어나갔다”며 “앞으로도 프리미엄 콘텐츠 및 상품 라인업 강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 및 디지털 성장을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