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 율촌항만부지, '해양물류·산업거점'으로 키운다.

입력 2020-11-04 1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119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 개최…개발계획 변경승인

▲율촌항만부지 토지이용계획도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전남 여수시 광양만 경제자유구역 율촌항만부지를 '글로벌 해양물류·산업거점'으로 키우기로 했다.

정부는 4일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서 제119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어 광양만 경자구역 율촌항만부지 개발계획 변경승인안 등 3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먼저 광양만 경자구역 율촌항만부지는 글로벌 해양물류·산업거점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항만시설용지 및 항만배후단지 일부를 광양항 율촌 융·복합 물류단지(326만㎡)로 변경하는 토지이용계획을 승인했다.

물류단지에는 석유·화학·의약품 제조업 등 미래신소재와 전자 부품·전기장비 제조업 등 복합첨단산업 시설이 들어선다. 물류 및 제조시설, 업무·공공시설도 들어설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는 광양만권 내 부족한 산업시설 용지를 공급하고 광양항의 안정적인 물동량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신산업 및 물류기능이 융·복합된 클러스터로 조성돼 경제자유구역 활성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변경 승인으로 예측 신규 발생 물동량은 연간 939만1000톤이다. 이와 함께 일자리 1만4373개 창출과 생산유발 효과 4조8323억 원이 기대된다.

정부는 기업 수요를 고려해 준설토 투기를 완료하고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용지 공급이 가능하도록 개발할 계획이다.

광양만 경자구역 대송산업단지는 친환경 산업단지로 조성한다.

기존에는 금속가공제품 제조나 기타운송장비 등의 업종을 유치할 수 있었으나, 식료품과 비금속광물 제품, 1차 금속제조업 등 에너지 신산업과 친환경 관련 업종도 들어설 수 있게 유치업종을 추가했다.

경남 창원시 부산진해 경자구역 내 연구개발중심의 보배지구를 산업기능을 겸비한 복합지구로 개발하는 토지이용계획 변경 안건도 위원회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의료·정밀·광학기기 및 시계제조업이나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등의 업종이 유치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