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대출금리도 3년여만에 가장 낮아..저금리·농산물발 물가상승 탓..실물경제엔 도움
실질예금금리가 1년10개월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은행에 예금을 해봐야 손해를 보는 시대가 됐다. 실질대출금리도 동반하락해 3년여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예금자 입장에서는 쓰린 마음이겠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맞아 실물경제를 뒷받침하는데는 도움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0/10/600/20201030125247_1532393_866_357.jpg)
신규취급액기준 대출금리에서 CPI를 뺀 실질대출금리도 1.71%로 올 1월(1.70%) 이후 가장 낮았다. 대출금리에서 기대인플레이션율 혹은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인플레를 뺀 실질대출금리도 각각 0.76%와 2.08%에 그쳤다. 이는 각각 2017년 2월(0.75%)과 2017년 10월(1.87%) 이후 최저치다.
한은 관계자는 “예금자 입장에서는 예금해봐야 손해긴 하다. 다만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실물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낮춘 것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것 같다”며 “이런 상황은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미국 등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앞서 6월25일 이주열 한은 총재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관련 기자설명회에서 “현재 실질기준금리가 0%대 초반에서 -1%대 초반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실질금리 수준으로 보면 소비라든가 투자 등 실물경제 활동을 제약하지 않는 수준”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한은은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3월에 50bp 5월에 25bp 등 총 75bp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한 바 있다. 현재 기준금리 수준은 0.50%로 역대 최저수준을 기록 중이다.
한편, 9월 물가가 태풍 등 기상악화 영향에 농산물값이 급등한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10월엔 물가하락과 함께 실질예금금리가 플러스로 돌아설 것이란 관측이다.
또 다른 한은 관계자는 “수신과 대출금리는 저금리 속에서 떨어지고 있는 측면이 있는 반면, 9월엔 농수산물이 많이 올라 CPI가 많이 올랐다”며 “10월 물가는 이동통신비 지원 등 영향으로 (9월) 1.0% 상승률에서 많이 내려갈 것이다. 이에 따라 실질금리는 다시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