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과 소통”…금융협회 수장 ‘전관 전성시대’ 오나

입력 2020-10-28 18: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文정부 후반기 ‘民→官’ 유턴?

소비자 보호 등 현안 해결 부각
손보協, 차기 후보 전부 官 출신
은행연합, 최종구·임종룡 거론

문재인 정부 집권 후반기, 금융권 협회장 인선에서 ‘전관(前官)’ 바람이 일고 있다. 전국은행연합회, 손해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 등 금융권 협회장들의 임기가 만료가 임박해지자 정권 초기와 달리 ‘민간 출신’보다, 고위관료 출신 인사들의 하마평이 난무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소비자 보호 강공에 맞서 관료 출신 협회장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손해보험협회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27일 시내 모처에서 2차 회의를 열어 차기 회장 후보로 적합한 인사를 추천했다. 이 자리에서 강영구 메리츠화재 사장, 김성진 전 조달청장, 유관우 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진웅섭 전 금융감독원장 등이 추천을 받았다. 이들 모두 관료와 금융감독당국 출신 인사다 . 후보추천위는 다음달 2일 3차 회의를 열어 회장 후보를 단수 또는 복수로 추천할 계획이다. 차기 회장은 회원 총회가 위원회 추천 후보 가운데서 선출한다.

은행연합회는 지난 26일 정기 이사회를 열고 김태영 회장의 후임 선임 일정과 방식 등을 논의했다. 이사회는 4대 은행과 지방은행, 특수은행 등 10개 회원사 은행장으로 구성된다. 은행연합회장은 임기 3년에 1회 연임이 가능하지만 역대 회장 11명 중 정춘택 초대 회장만이 연임에 성공했다. 공개적으로 연임 의사를 밝히지 않은 김 회장도 차기 회장에게 자리를 넘겨줄 것으로 보인다.

은행연합회장도 관료 출신 새 인물이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은행업계 내부에서도 장관급 이상의 인사를 유력 후보군에 포함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산업에 대한 이해도 높고, 규제 완화 등을 이끌어 내야 하는 만큼 금융당국과 경제 부처에 대한 긴밀한 교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차기 은행연합회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관료 출신 인사로는 최종구·임종룡 전 금융위원장과 민병두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윤대희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김용환 전 NH농협금융지주 회장 등이다.

여기에 정치권 인사도 차기 은행연합회장으로 꾸준히 거론되고 있다. 금융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정치권이나 정부와 소통이 원활하다는 특징 때문에 민병두·최운열 등 정무위원회 출신의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후보군에 자천타천으로 합류했다.

생보협회는 아직 후보군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은행연합회와 손보협회장 등이 관료 출신들로 채워지게 되면 자연스레 관료 출신 인사가 가지 않겠냐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역대 생보협회장은 관료 출신이나 대형사 최고경영자(CEO) 출신들이 주로 맡아 왔다. 그러나 2023년 도입을 앞둔 새 국제보험회계기준(IFRS17) 등의 현안 해결을 위해 금융당국과의 소통이 더 중요한 시점이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관료출신 협회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손보협회는 15개 정회원사가 투표권 가지고 있다. 총회는 회원사 3분의 2 출석에 과반이 찬성해야 차기 회장 후보안이 가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협회장으로 관료 출신을 선호하는 이유는 주요 현안과 관련된 업권의 의견을 금융당국, 정부 등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특히 금융당국과의 소통이 다른 업권보다 중요한데, 민간 출신보다는 관료 출신이 현안 소통이 더 원활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