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격차 47배…가장 비싼 곳은 2주에 2600만원

입력 2020-10-05 09: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남인순 의원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격차 커…공공 산후조리원 확대 필요"

(출처=보건복지부)

국내에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과 가장 저렴한 곳의 가격 격차가 47배까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현황’을 보면, 올해 6월 기준 신생아 1명을 동반하고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은 최고 2600만 원, 최저 55만 원이었다.

전국 507개 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비용은 228만 원, 최고가 1300만 원, 최저가 55만 원이었고, 특실의 경우 평균 292만 원, 최고가 2600만 원, 최저가 79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구에 있는 B산후조리원은 일반실 1200만 원, 특실 2600만 원으로 전국 최고가 시설이었다. 반면 경남 창원의 K산후조리원은 일반실 55만 원, 특실 75만 원으로 가장 저렴했는데 전국 최고가와 최저가 이용요금의 차이가 47.3배였다.

특실과 일반실 비용 상위 10위 안에 드는 9개의 산후조리원은 서울 강남구에 있었고, 1개는 서울 서초구에 있었다. 서울 강남구 산후조리원의 평균 비용은 일반실 641만 원, 특실 1186만 원이고, ‘강남 3구’로 불리는 강남ㆍ서초ㆍ송파구 평균 비용은 일반실 503만 원, 특실이 865만 원이었다.

남인순 의원은 “산후조리원마다 이용요금이 천차만별이라 정보 공시사이트의 필요성을 주장해왔는데, 올해 8월부터 공정거래위원회에서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로 통합해 산후조리원 정보를 제공하게 돼 환영한다”라며 “산모 4명 중 3명이 이용하는 산후조리원에 사용하는 평균 비용은 220만 원으로 나타났고, 필요한 정부정책으로 절반 이상의 산모가 산후조리원 경비지원을 꼽는다. 공공산후조리원의 경우 비교적 저렴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특히 열악한 출산 환경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확대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남 의원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 8개의 공공산후조리원이 설치ㆍ운영 중이고, 4개의 공공산후조리원이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다. 다만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설치ㆍ운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이에 남 의원은 “공공산후조리원의 3분의 2가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설치임에도 불구하고, 합리적인 이유없이 공공산후조리원의 설치ㆍ운영 주체에서 배제하고 있어 ‘모자보건법’ 개정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