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 비용 분담·사용 수수료 등 과제
카드사들이 ‘오픈뱅킹' 참여 논의에 착수 했지만 망 비용 분담, 개방형 응용프로그램개발환경(오픈API) 사용 수수료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여신금융협회와 개별 카드사들은 오픈뱅킹 참여를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축하고 금융결제원과 가입 협의에 들어갔다.
오픈뱅킹은 은행이나 핀테크 애플리케이션(앱) 하나로 자신의 모든 계좌를 조회하고 이체할 수 있는 서비스다. 지난해 12월 본격적으로 가동된 오픈뱅킹에는 은행과 핀테크 기업만 참여했다. 오픈뱅킹의 가입자(6월 기준)는 4096만 명으로 등록 계좌는 6588만개다. 중복 제외 가입자와 계좌 수는 각각 2032만 명, 4398만개다. 국내 경제활동인구(2821만 명)의 약 72%가 오픈뱅킹에 등록한 셈이다.
금융위원회가 이용기관을 제2금융으로 확대, 추진하면서 상호금융과 저축은행들은 오픈뱅킹 시스템 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카드사들의 오픈뱅킹 가입은 '오픈뱅킹 적용 기관은 계좌가 있어야 한다'는 조항 때문에 가입이 어려운 상태였지만 금결원이 카드사들을 '특별참여기관'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면서 참여 논의가 시작됐다.
그러나 카드사는 아직 오픈뱅킹에 관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관건은 카드사의 오픈뱅킹망 이용료 분담 수준이다. 은행은 오픈뱅킹망을 금결원과 함께 구축해 분담금을 내고 있는 만큼 카드사도 적정한 수준의 분담금을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은행은 금결원과 오픈뱅킹망 사용 규약을 통해 각 은행 보유 '계좌와 계좌 잔액의 총합'에 비례해 분담금을 내고 있다. 금융계좌가 없는 카드업계에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마련돼야 하는 셈이다.
은행권이 카드업계의 무임승차를 반대하는 상황인 만큼 금결원은 카드업계에 분담금과 고객의 카드 사용내역 정보 제공을 요구한 상황이다. 카드사에 요구하는 분담금은 증권사, 저축은행 수준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카드사에서는 핀테크사와의 형평성을 요구하는 의견도 나와 가입 합의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카드사들은 하루 빨리 오픈뱅킹 참여가 확정되기를 바라고 있다. 카드사들은 오픈뱅킹을 활용하면 출금과 대금 이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고객 입장에서도 하나의 앱으로 각종 카드사의 포인트 혜택 등을 비교해 활용할 수 있다.
또 마이페이먼트 사업 준비를 위해서도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마이페이먼트는 서비스 제공 주체가 결제 자금을 보유하지 않고도 정보만으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한 번의 로그인으로 모든 은행 자기계좌에서 결제와 송금이 처리되는 서비스로 오픈뱅킹이 필수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들은 이미 은행과 연결돼 있어 금결원과 협의만 마무리되면 시작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