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연대‧협력 산업전략 추진방안' 발표…R&D 등 3000억 지원

입력 2020-09-24 14: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업간 연대·협력모델 확대…반도체·배터리 협력방안 4분기 중 마련

▲산업통상자원부 (이투데이DB)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산업 생태계 혁신을 위해 경제주체간 연대와 협력이 강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대기업, 중소기업, 경제단체 등 다양한 경제주체 간 협력 모델 확대를 위해 '연대·협력 산업전략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정부와 경제단체, 업종별 협회는 참여 주체와 업종 및 협력유형을 확대하는 '위기극복형', 기술개발 및 사업재편을 확산하는 '미래준비형' 등 다양한 연대·협력 모델을 개발한다.

바이오(소부장 공동개발), 반도체(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 배터리(전기차 배터리 리스) 등 대표 업종을 발굴해 사업을 추진한다.

이날 '바이오 소부장 연대협력 협의체'가 발족한 데 이어 반도체와 배터리 분야 연대협력 모델도 4분기 중 마련할 계획이다.

수요 대기업과 소수 1차 협력업체 외에도 타사 협력업체를 포함하거나 다양한 업종의 기업을 아우르도록 참여 주체를 확대한다.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단체와 업종별 협회 참여도 더욱 활성화한다.

연대·협력 모델별 맞춤형 정책 지원도 강화한다.

위기극복형 모델은 현재 자동차, 기계·항공제조, 반도체, 섬유 업종에 제공하는 협력업체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을 다른 업종으로도 확대 적용하도록 추가로 개발한다.

철강, 섬유 업종은 수요기업이 수입하는 원부자재의 국내 조달을 확대하도록 수요 창출 모델을 마련할 예정이다.

미래준비형 모델의 경우 내년 신규 R&D 사업 예산의 20% 이상(1700억 원)을 연대·협력형 과제에 집중적으로 배정하고 지역 혁신 클러스터 등 시설·장비 활용에 1400억 원을 지원한다.

또 해외 수주·진출을 위한 G2G(정부 간 계약) 협력을 확대하고 팀코리아 협의체를 가동하는 한편 공동 R&D 결과물 대기업 구매 확약 지원, 수요-공급기업이 공동 참여하는 사업재편 확산 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연대·협력의 정의와 유형, 지원 근거 등 규정을 담도록 산업발전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연대·협력 활동 우수 기업에 대한 정부 포상과 평가 우대 범위도 확대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산업생태계 내 다양한 주체들이 더 강하게 연대해 서로를 지켜내고 강점을 극대화함으로써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다"며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연대협력이 이뤄지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