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베스틸, 머신비전 기반 ‘스파크 자동판정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입력 2020-09-14 09: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작업 편의성 향상ㆍ제품 검수과정 오류 감소…품질 향상 기대

㈜세아베스틸이 군산공장 소형압연 생산라인에 머신비전 기술을 활용한 ‘스파크 자동판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14일 밝혔다.

머신비전이란 기계, 로봇 등에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시각과 판단 기능을 부여해 사람이 인지, 판단해 오던 것을 시스템이 더욱 고차원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세아베스틸이 도입한 ‘스파크 자동판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수강 강종 고유의 특성에 따라 마찰 시 발생하는 스파크의 형태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된 머신비전 솔루션이다.

기존에는 작업자가 제품에 스파크를 발생시켜 육안으로 형태를 확인하고 주관적 판단에 의존해 이종(異種) 강종을 구분했다.

새 시스템은 로봇 팔이 발생시킨 스파크의 형태를 설비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분석 과정을 거쳐 이종 강종을 자동으로 구분한다. 작업 편의성 및 정확도가 높아진 것이 특징이다.

세아베스틸은 ‘스파크 자동판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강종 판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1년 반 동안 각 강종의 제품 표면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켜 2만여 건의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특수강 제품의 경우 일반 철강제품과 달리 내구성 및 내열성 등 수요처가 원하는 강종의 스펙으로 제품을 생산ㆍ납품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제품 판정 오류로 다른 성질을 지닌 강종이 혼입되는 경우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세아베스틸은 이종 강종 혼입을 막고 제품 관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다각도로 해결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번 ‘스파크 자동판정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을 통해 검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혁신적으로 감소시키고 생산 품질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세아베스틸은 2018년부터 디지털 기술을 적용한 공정 솔루션 구축을 위해 IOT, 빅데이터 등 해당 분야 전문가 집단과 협업을 진행해 왔으며, 디지털 혁신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세부 과제를 실행하며 전사적 변화와 미래 산업에 대한 대비를 해왔다.

홍성원 세아베스틸 생산기획실 이사는 "2018년부터 9개년 계획하에 추진 중인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 성과가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며 "안전한 공장, 최상의 품질을 구현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