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 제약사들 “안전성 입증 전까지 정부 승인받지 않을 것”

입력 2020-09-05 17: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다음 주 ‘공동 안전서약’ 발표 예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로이터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는 제약사들이 안전성이 입증되기 전까지 정부 승인을 받지 않겠다는 공동 서약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4일(현지시간) 화이자, 존슨앤드존슨, 모더나를 포함한 제약사가 이 같은 서약이 담긴 공동 선언문을 준비 중이며 관련 내용은 다음 주 초에 공개될 예정이라고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들 제약사는 서약에서 백신을 접종한 사람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고, 백신의 임상 시험과 제조 공정에서 과학적 윤리적 기준을 높게 적용하기로 했다.

이날 보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월 대선을 앞두고 백신 개발을 성급하게 추진한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도 "올해 안에 코로나19 백신이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1일 이전에, 10월에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배포를 담당할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지난주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11월 가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가 주재하는 코로나19 백신 외부 전문가 회의 역시 10월 말 예정돼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위해 대선일인 11월 3일 이전에 백신 접종을 서두르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했다.

상황이 급진적으로 흐르자 과학자들과 기업은 백신의 안전성 담보하기 위해 나섰다. 기업들이 준비 중인 서약서 초안에는 FDA 지침에 따른 코로나19 백신의 3상 임상 시험에서 안전과 효과 면에서 충분한 검증이 이뤄진 뒤에 정부에 긴급 승인을 요구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백신 개발의 최종 단계인 3상 임상 시험에서 접종군의 증상 발현율이 비접종군과 비교해 낮다는 게 입증돼야 한다.

현재 최소 3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몇몇 백신의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거나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들 백신은 앞으로 수개월 내에 잠정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정부의 긴급 사용 허가를 받거나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FDA는 코로나19 백신이 위약과 비교해 50% 이상의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허가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웠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