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의사 파업과 K의료의 위상

입력 2020-09-03 17: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미선 유통바이오부/only@

코로나19 이후 ‘K브랜드’의 위상이 달라졌다. K팝·K드라마·K푸드 등 소프트파워에 집중돼 있던 K브랜드가 K의료, K방역, K바이오의 활약으로 세계 시장에서 외연을 확대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상품과 서비스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K브랜드’를 활용한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고, 정부도 K브랜드를 달고 해외에 진출할 때 신뢰도가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그런데 코로나 시대를 계기로 그렇게 극찬받던 K브랜드 대표주자 격인 K의료가 정부와 서로 삿대질하고 있다. 정부는 4대 의료 정책(△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 의대 설립 △첩약급여 시범사업 △비대면 진료 육성)을 추진하려 하고, 의료계는 전면 철회로 맞선다. 양측이 공감하는 국내 의료 현실은 같다. 우리나라 의료 서비스 접근성은 높지만, 지방 의료 서비스는 낙후됐다는 것이다. 다만 이 문제를 풀어가는 방법을 놓고 정부와 의료계는 갈등하고 있다.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을 통해 지방 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믿고 있지만, 의료계는 의사 수 부족의 문제가 아닌 만큼 의료 수가를 높여 의사들이 기피하는 진료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주장한다.

양측은 충분한 대화와 토론, 설득으로 견해차를 좁혀야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결국 의료계는 코로나19 재확산 국면에 파업에 들어갔다. 상황이 악화하자 정부와 의료계는 각각 “전시 상황서 전장 이탈하는 군인” “기생충보다 못한 정부”라며 서로 헐뜯었고, 결국 의협은 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했다.

나라의 품격을 높였던 K의료 위상이 하루아침에 나락으로 떨어졌다. 다행히 정치권은 무기한 총파업을 앞두고 의료계 요구대로 “원점에서 재논의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고, 의협은 개원의·전공의·전임의·의대생까지 총망라한 지도부가 단일안으로 협상에 나서기로 해 갈등은 일단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가뜩이나 코로나가 재확산하는 시기에 국민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양측이 이해와 양보를 통해 K의료 품격에 걸맞는 의사결정을 내놓길 기대해 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