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금융중심지' 유치 경쟁 치열

입력 2008-11-10 09:27수정 2008-11-10 10: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인천·부산·제주시 등 각축

정부가 추진중인 금융중심지 선정에 대해 지방자치단체들의 유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6일 서울시와 부산시 등 지자체에 따르면, 지자체들은 각 후보지의 특·장점을 내세우며 금융중심지 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금융중심지로 지정될 겨우 각종 세제혜택과 금융지원은 물론 외국인학교 설립 등 다양한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서울시는 금융중심지 후보로 여의도 일대를 확정하고 오는 14일 개발계획안을 금융위원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여의도동 일대를 줌심업무지구와 지원업무지구, 배후주거지구, 주거지원지구, 자연녹지 및 도로로 나눠 개발할 방침이다.

서울시 금융도시담당 관계자는 "금융중심지는 실질적, 종합적 기반이 갖춰져 있는 서울시가 선정돼야 한다"며 "서울에서의 금융효과가 지방으로 파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부산시도 금융중심지로 선정되면 문현혁신지구에 파생금융의 발전, 북항재개발지구에는 해양금융을 중심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며, 해운거래소와 탄소배출권거래소, 국제금융센터 등을 설립할 예정이다.

또한 금융전문대학원 및 해외 MBA분교, 금융연수원등의 인프라를 갖출 예정이다. 더불어 회계·법률·세무 등 금융벤처 지원기능과 문화시설, 쇼핑몰, 외국인 주거단지 등 각종 인프라도 갖출 계획이다.

부산시 금융산업팀장은 "부산시는 해양금융도시로서의 역량과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이미 증권선물거래소와 기술보증기금이 위치해 있고, 한국자산관리공사도 이전할 예정이어서 금융중심지로서 손색이 없다"고 강조했다.

인천시 역시 금융 인적자원 확보의 용이함과 풍부한 비즈니스 환경, 쾌적하고 편리한 업무환경을 내세워 금융중심지로서의 적합성을 주장하고 있다.

인천시는 국제공항을 보유해 접근성이 우수하고 외국 교육기관 및 의료기관의 유치로 생활환경이 뛰어나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제주도도 역외금융센터를 주 내용으로 한 금융중심지 개발개획안을 마련하고 의견수렴을 거쳐 오는 14일까지 금융위원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역외금융센터를 주모델로 하고 있어 서울, 인천, 부산의 역내 금융센터와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금융중심지 선정이 안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각 지자체들이 제출하는 개발계획안을 평가한 뒤 올해 말까지 지정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성장가능성 ▲금융회사 및 관련산업 유치 ▲전문 인력확보 여부 등을 중심으로 평가해 2~3개 지자체를 금융중심지로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