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수출형 서비스산업에 2023년까지 4조6000억 원 공급…'10대 서비스 수출국' 도약

입력 2020-08-13 10: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K-서비스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 발표…"GVC 재편 선제 대응"

▲'K-서비스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 목표 및 추진전략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 2023년까지 4조6000억 원의 자금을 공급한다. 콘텐츠 제작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1조 원 이상의 문화콘텐츠 펀드도 조성한다. 정부는 6대 유망 K-서비스를 집중 육성해 2025년 서비스 10대 수출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열린 '제1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을 담은 'K-서비스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미·중 무역 분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GVC) 재편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우선 서비스 기업들이 해외 진출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현장 애로 해소를 위해 수출지원사업에서 서비스 기업을 우대하고 특화지원을 확대한다.

수출지원사업의 서비스 업종 대상 매출액 기준과 선정 기준을 완화하고 연구비의 인건비 사용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의 서비스 연구개발(R&D) 활성화 방안을 3분기 중 수립한다.

또 B2B(기업 간 거래)·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수요자별로 온라인 수출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서비스 기업의 특성을 반영해 금융 지원도 확대한다.

소비재 판매 중소기업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글로벌화를 지원하는 데 최대 1억 원을 투입하며, 비대면 서비스의 무역보험 한도를 최대 2배까지 우대할 방침이다.

특히 핵심 수출형 서비스 산업에는 2023년까지 4조6000억 원의 자금을 공급하고 콘텐츠 제작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1조 원 이상의 문화콘텐츠 펀드를 2024년까지 조성한다. 1000억 원 규모의 'K-바이오 신성장 펀드 제6호'를 통해 의료 서비스의 해외투자 진출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바이오·헬스, 로봇, 자동차 등 분야에서 서비스와 주력 제조상품을 결합한 프로젝트나 사업모델을 발굴해 R&D와 수출을 지원한다.

한류와 K-방역을 연계해 K-서비스의 마케팅을 강화하는 한편 하드웨어와 서비스를 연계한 ODA(공적개발원조)를 통해 패키지로 해외 진출을 촉진한다.

K-서비스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에 대한 맞춤형 성장 지원과 비대면 서비스 및 핵심기술에 대한 선제적인 글로벌 표준화 작업도 이뤄진다.

정부는 제조업에 못지않은 서비스 수출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해 서비스 분야에서 네트워크와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디지털 파트너십 협정 체결을 추진한다.

해외지식재산센터를 확대하고 국제 지재권 분쟁 대응 지원 사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글로벌 물류망을 구축하도록 서비스 분야의 전문 무역상사를 육성한다.

정부는 △콘텐츠 △의료·헬스케어 △에듀테크 △디지털서비스 △핀테크 △엔지니어링을 6대 유망 K-서비스로 정하고 분야별로 특성에 맞는 해외 진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유발된 제조·서비스 융합,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등이 코로나19 이후로 더욱 가속화하면서 서비스 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 여부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 창출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코로나19 대응을 통해 높아진 국격을 배경으로 서비스산업이 신(新) 수출 성장동력으로 성장하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