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은행 증가폭 2월 최대, 5~6월 주춤 7월 다시 급증… "거래량 줄었지만 가격상승 탓"
정부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전세자금대출을 제한하는 대책을 내놨지만 대출 금액은 여전히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지난 2월 역대 최대 증가폭을 보이는 등 올해 7월까지 증가폭이 전년보다 14조 원 가까이 늘었다.
9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 은행에 따르면 7월말 기준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총 94조556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에 비하면 13조6024억 원(16.9%) 증가한 수치다. 전달보다는 2조201억 원(2.2%) 늘었다.
올해 2∼4월 전세대출이 크게 늘었던 것은 정부 대출 규제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12·16 부동산 대책과 후속 대책으로 고가 주택 구입 시 주택담보대출을 받기 어려워지자 주택 매매 수요가 감소하고 전세 수요가 늘었고, 전세 가격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7월 급증세는 다소 이례적이다. 보통 7월이 장마, 휴가 등으로 이사 수요가 적은 임대차 시장 비수기이고, 특히 전세 거래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시의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성사된 아파트 전세 계약은 6304건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1년 이후 가장 적었다. 전세, 반전세, 월세까지 포함한 거래량은 8344건으로, 계약이 가장 많았던 올해 2월의 43% 수준이었다. 경기도 전월세 거래량은 1만2326건으로, 2월의 약 45%에 그쳤다.
'6.17 부동산 대책' 중 전세대출을 제한하는 조치가 지난달 10일부터 적용됐지만, 전세대출 감소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정부는 규제 지역에서 시세가 3억 원이 넘는 아파트를 사면 기존 전세대출을 갚도록 하고, 시세 9억원이 넘는 주택 보유자에게는 전세대출 보증을 제한하도록 했다.
결국, 전세대출 증가는 가격 상승이 이끈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갭투자가 사실상 막히고 전세대출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이뤄졌는데도 증가 폭이 가팔랐다는 것은 가격 상승 요인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매매 가격 상승에 따라 전세 가격도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7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달보다 0.44% 올랐다. 서울은 전달 대비 0.68%, 수도권은 0.63% 증가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