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즈한잔’은 매일 한 문제씩 이투데이와 함께하는 경제 상식 퀴즈입니다! 매일 아침 커피 한 잔을 마시듯 퀴즈를 풀며 경제 상식을 키워나가세요!
![](https://img.etoday.co.kr/pto_db/2020/08/600/20200805084055_1493867_1000_1000.jpg)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의 차이가 작은 집을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것?
40대 미국인 A 씨가 67억 원 상당의 아파트 47채를 불분명한 자금을 통해 구매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남성은 2018년부터 수도권과 충청권 지역에서 47채 아파트를 ‘이 방식’으로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것은 시세 차익을 노리고 주택이 매매가격과 전세금의 차이가 적은 집을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무엇일까?
![](https://img.etoday.co.kr/pto_db/2020/08/600/20200805084113_1493868_1000_2700.jpg)
정답은 ‘갭투자’다.
예를 들어 매매가격이 2억 원인 집의 전세가가 1억5000만 원이라면 전세를 끼고 5000만 원으로 집을 사는 방식이다.
부동산 가격을 상승시키고 시장을 교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갭투기’로도 불린다.
갭투자는 대출금을 갚지 못하거나 세입자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한 사례가 발생하며 문제가 되기도 했다.
집값이 상승하면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집값이 하락할 때에는 깡통주택으로 전락해 집을 팔아도 세입자의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거나 매매 당시 대출금을 못하는 것이다.
한편, 국세청은 미국인 남성 A 씨를 포함해 주택임대소득 등의 탈루 혐의가 있는 외국인 다주택 보유자 등 42명에 대해 전격 세무조사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국세청에 따르면 외국인이 소유하는 전체 아파트 2만3167건 중 실거주하지 않는 아파트는 7569건(32.7%)에 이른다.
국세청 관계자는 “이번 세무 조사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임대소득 탈루는 물론, 양도소득 탈루 혐의 등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검증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