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왜 벌써부터 6G를 준비하는가"

입력 2020-07-26 13: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성현 삼성리서치 센터장 “10년 빠른 통신의 시간… 6G 무한경쟁 시대 돌입”

▲최성현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 (출처=삼성전자 뉴스룸)

5G(5세대 이동통신) 리더십 경험을 바탕으로 한 6G(6세대 이동통신) 미래기술 선점은 삼성전자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최성현 삼성전자 삼서리서치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은 26일 삼성전자 뉴스룸에 올린 ‘지금 우리는 왜 6G를 준비해야 하는가’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통신기술 리더십은 머지않아 펼쳐질 첨예한 미래 신기술 경쟁에서 승리할 첫 번째 필수조건"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아직 5G가 깊게 뿌리내리지 못한 상황에서 ‘2028년 상용화가 예상되는 6G 연구를 벌써 시작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으나, 통신의 시간은 늘 10년 빠르게 움직여왔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6G 백서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을 공개하고, 차세대 미래 기술로 꼽히는 6G 기술 주도에 나서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최 센터장은 “4G가 생소할 무렵 삼성전자는 5G 표준화와 선행기술 연구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세계 최초 5G 상용화의 주역이 될 수 있었다”며 한발 앞선 장기적인 안목과 긴 호흡의 연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센터장은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에는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지 않는 실시간 통신시스템이 중요하고, 로봇 역시 일상의 돌발상황을 대처하기 위해서는 초고속 연결이 선행돼야 한다고 견해를 밝혔다.

최 센터장은 “삼성전자는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6G 통신 기술의 글로벌 표준화는 물론, 기술개발 생태계를 주도적으로 이끌겠다는 비전을 갖고 차세대 통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최 센터장은 앞으로 6G 주도권 경쟁이 5G보다 훨씬 더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래의 통신기술은 다양한 산업과의 융합을 이끄는 기반 인프라 기술이 될 것이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기존 통신 회사들 외에도 자동차,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업계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산업에 융합하기 위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어, 통신업계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최 센터장은 ‘초격차’의 시작은 ‘선제적 연구와 투자’로부터 시작됨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당장 이익보다 통신업계 전체의 발전이라는 넓은 시각과 다른 회사들과 협력하는 포용력을 가져야 하는 통신 기술의 표준화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업만이 선도할 수 있는 분야”라며 삼성의 역할을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