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재정지원 기꺼이 검토할 듯”… 트럼프, ‘학교 정상화’ 당근책 꺼내드나

입력 2020-07-14 10: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커들로 위원장 “학교 문 연다면 기꺼이 검토할 것이라 생각…인센티브 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로 중단된 학교 수업의 재개를 논의하는 라운드 테이블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백악관 경제 고문이 1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 가을 학교를 재개하는 지방 정부에 대해 재정 지원을 늘리는 방안을 기꺼이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학교 수업 정상화에 열을 올리며 압박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당근책’을 꺼내 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학교가 문을 다시 연다면 나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 및 지방정부에 대한 추가적인 재정 지원을 기꺼이 검토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그것은 아마 인센티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경제 정상화의 일환으로 학교 수업을 정상화하는 방안을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학교 문을 열지 않는 주 정부에 대해 교육재정 지원을 끊는다고 압박했다. 이어 지난 12일에는 벳시 디보스 교육부 장관이 인터뷰를 통해 “대부분 아이에게는 학교가 가장 좋은 환경”이라며 수업 정상화를 강조했다.

이번 가을학기에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만 듣는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를 취소하고, 대학의 면세 지위를 재검토하는 것 또한 가을학기 정상화를 압박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확산세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학교 정상화 추진은 적잖은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민주당 소속의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은 CNN에 출연해 “코로나19 확산기에 학교로 돌아가는 것은 가장 큰 위험”이라고 지적하면서 “대통령과 행정부가 아이들의 건강을 해친다. 소름 끼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미국의 코로나19 누적 환자는 330만 명을 넘어섰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에 따르면 이날 미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332만3432명으로 집계됐다. 미국 인구조사국이 추정하는 전체 미국 인구(약 3억2900만 명)의 1%가 넘는 규모로, 미국인 100명 중 1명 이상이 코로나19에 감염된 셈이다. 사망자 수는 13만5272명으로 파악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