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귀재’ 버핏 시대 저무나…‘베이비 버핏’ 애크먼도 버크셔 지분 팔았다

입력 2020-05-28 14:17수정 2020-05-28 14: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애크먼, 버핏 오랜 추종자였지만 소극적 자세에 실망…버크셔 수익률, 10년간 벤치마크 지수에 뒤처져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 AP뉴시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시대가 이대로 저무는 걸까. 투자 실패가 계속되자 버핏을 오랫동안 스승처럼 떠받들던 ‘베이비 버핏’ 빌 애크먼까지 버크셔해서웨이 주식을 전량 매각하면서 ‘투자의 귀재’ 명성이 또 한번 무너져내리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버핏의 오랜 팬을 자처했던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캐피털매니지먼트 설립자가 10억 달러(약 1조2300억 원)에 달하는 버크셔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고 보도했다.

애크먼은 “버크셔는 물론 블랙스톤그룹과 파크호텔앤드리조트 지분도 팔았다”며 “버크셔에 대해서는 건전한 투자라고 보고 있지만, 최근 시장의 변동성은 수익률이 더 좋은 상품에 대한 좋은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빠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블랙스톤과 파크호텔은 시장 반등 전에 매력적인 가격으로 충분한 포지션을 확보하지 못해 정리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여름 애크먼이 버크셔 지분을 처음으로 매입했다고 밝혔을 때만 해도 그는 버핏이 1000억 달러가 넘는 버크셔의 현금자산을 이용해 빅 딜(Big Deal)에 나설 것으로 기대했다. 심지어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본격화한 올해 3월 23일에도 애크먼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경제 회복에 대한 베팅의 일환으로 버크셔 지분을 추가 매입했다”며 “버핏이 그랬던 것처럼 미국에 베팅하고 있다”고 버핏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보였다.

그러나 버크셔의 현금보유액이 1370억 달러로 사상 최대 수준에 이르고, 팬데믹이 저가매수 기회를 창출하고 있음에도 버핏이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자 애크먼은 실망했다고 한다.

버핏은 이달 초 버크셔의 화상 주주총회에서 “최악의 상황이 일어날 경우를 감안하면 우리의 현금 포지션이 그렇게 큰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애크먼을 포함한 버핏 추종자들을 어이없게 만들었을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최근 10년간 뉴욕증시 S&P500지수와 버크셔해서웨이 주식 투자수익률 비교. 회색:S&P500(배당금 포함)/파란색:버크셔(배당금 지급하지 않음). 출처 블룸버그
애크먼은 이날 “우리가 버크셔와 비교해 보유한 장점 중 하나는 상대적인 규모”라며 “버크셔는 1300억 달러에 달하는 자본을 배치하는 데 문제가 있지만 퍼싱스퀘어는 운용자산이 약 100억 달러로, 버크셔보다 더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투자에 미적지근한 버크셔에 넣었던 돈을 빼서 다른 데 투자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것이다.

최근 버크셔의 주가는 ‘투자의 귀재’라는 버핏의 명성에 걸맞지 않게 뉴욕증시의 S&P500지수보다 못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S&P500지수 수익률은 237%에 달하지만, 버크셔는 152%에 그치고 있다. 올해도 S&P500지수는 약 7% 하락했는데, 버크셔의 하락 폭은 18%로 S&P500의 2배가 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