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의심 증상 있을 경우 활용 85.3%…비대면 진료 도입 시 활용도 72.7% 달해
우리 국민의 10명 중 9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비대면 진료를 활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외 다른 질병에 대한 비대면 진료 도입에 관해서도 긍정적인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오진 가능성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는 것을 전제로 관련 규정을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8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비대면진료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85.3%는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비대면진료를 활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활용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14.7%)에 비해 5.8배나 높다.
현재 우리나라는 의료진-환자 간 비대면진료를 금지하고 있으나,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경우, 전화상담 또는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이를 허용하고 있다.
국민들은 비대면진료 도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에 대한 긍정의견이 62.1%로 부정의견 18.1%에 비해 약 3.4배 높았다.
비대면진료 도입에 긍정적인 이유는 △병원방문에 따른 시간·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어서(57.7%) △의료접근성이 떨어지는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어서(21.7%) △대면진료보다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어서(10.8%) △의료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어서(9.8%) 순으로 응답했다.
긍정의견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40대 이상은 65.5%가 도입에 긍정적인 반면, 40대 미만은 55.6%가 긍정하며, 상대적으로 병원방문 경험이 많은 40대 이상이 비대면진료 도입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비대면진료 도입에 부정적인 이유는 △오진 가능성이 높아서(51.1%) △대형병원 환자 쏠림에 따른 중소병원 도산 우려로(23.6%) △의료사고 발생 시 구제받기 어려울 수 있어서(17.8%) △의료정보 입력, 전달과정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7.5%)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진료가 도입될 경우 ‘활용할 의향이 있다(72.7%)’는 응답이 ‘없다(27.3%)’는 응답에 비해 약 2.7배 높았다.
비대면진료를 활용할 의사가 없다고 답한 응답자 중 절반 가까이(47.2%)는 비대면 진료시의 오진가능성, 의료사고 문제 등에 대한 각종 부작용이 해소된다면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비대면진료의 활성화를 위해선 부작용의 해소가 관건인 셈이다.
아울러 비대면진료 도입을 위한 과제로 △만성질환자, 노인·장애인, 도서·벽지 등을 시작으로 한 점진적 도입(46.7%) △우수 의료기기 보급 등을 통한 오진 가능성 최소화(21.5%) △의료사고 책임소재 명확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20.3%) △대형병원 쏠림현상 방지방안 마련’(11.5%) 등이 제시됐다.
또한, 비대면지료가 도입될 시 우리 국민의 72.7%는 의료산업 발전과 헬스케어 기업 해외진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움이 안 된다는 의견은 9.5%에 불과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비대면진료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 인식이 큰 만큼, 도입에 따른 부작용 방지방안 마련을 전제로 관련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이번 조사결과를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