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에서도 늘어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법 없을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관절염과 관련된 진료를 받은 환자의 약 26.6%인 120만 명이 60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높은 비율로, 노령화 가속화에 따라 관절염이 중장년층을 위협하는 현대 질병으로 더욱 빠르게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퇴행성 관절염’이 중장년층의 대표 질환이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20대 관절염 환자가 증가하는 추이를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연령별 골관절염 진료 현황을 보면 지난해 20대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2013년에 비해 1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증가치는 80대와 60대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로, 젊은 층에서도 지속적인 무릎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가진단법과 예방법, 운동법 등이 소개돼 환자들의 이상 증상 확인이 보다 수월해졌지만, 건강 정보 상식이 모든 이에게 통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증상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 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관절염은 노화나 무리한 등산 등의 과도한 운동, 비만 등의 과체중에 의해 생기기도 하지만 쭈그려 앉는 자세 등의 잘못된 생활 습관에 의해 생기기도 한다. 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무리한 육체노동을 삼가고, 관절 주위 근육 강화를 위한 수영 등의 관절염 개선에 좋은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지나친 음주 및 흡연을 삼가고,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대표적인 관절염으로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화농성 관절염, 외상성 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건선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등이 있으며, 치료는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연골 주사 등의 비수술 치료와 관절경 수술, 절골술, 인공관절 수술 등의 수술적 치료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 방법인 프롤로주사(인대강화주사)는 통증이 있는 부위 관절의 인대를 강화하는 시술법이다. 증식제를 주입해 인대의 재생 및 증식을 도와 인대를 강화시켜, 통증 개선과 함께 근본적인 통증 원인을 해소해 치료 부위를 튼튼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술 시간이 짧고 시술이 간단해 일상생활 복귀가 빠르며, 수술이 어려운 고령 환자에게도 시술할 수 있다. 도수치료와 병행해 근본적 통증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인 인공관절 수술은 중기 이상 진행된 관절염에 적용할 수 있다. 수술 대상자는 △일상생활이 어려운 정도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들고, 야간에 통증이 심한 사람 △무릎 운동의 저항이 심한 사람 △약물치료와 주사치료의 효과가 없는 사람 △무릎이 안으로 휘어진 사람(O 다리 등)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로 인해 2차 합병증이 발생한 사람 등이 있다. 주로 무릎과 고관절(엉치), 어깨, 발목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수술 후에는 약 2주간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 인공관절 수술 후 감염과 골절, 신경/혈관 손상, 불안정성, 부분 강직, 혈전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니, 사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김철호 인천 청라 국제 병원 대표원장(정형외과 의학박사)은 “무릎 건강은 젊은 층과 중장년층을 막론하고 평소 꾸준한 관리를 통해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다”며 “무릎에 이상이 생겼을 시에는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