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를 상실할 경우 치과에서 추천하는 치료 방법은?

입력 2020-05-20 10: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씹어 다른 소화기계통의 부담을 줄이고 생명 유지와 사람이 활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때문에 치아를 상실할 경우 심미성이 저하되고, 음식물을 제대로 씹지 못해 다른 소화기계통에 부담을 주게 된다. 또한, 치아는 빈 곳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인접 치아가 치아의 빈 곳으로 기울여지게 되고, 치조골(잇몸뼈)도 흡수되어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음식물이 끼어 충치나 치주 질환이 발생할 확률도 높아진다.

하여 치아를 상실했다면 빠른 시일 내에 치과에 내원하여 기존 치아의 역할을 대신 수행해 줄 인공 보철물로 대체해야 한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틀니와 브릿지 임플란트가 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다.

틀니의 경우 고정 없이 잇몸 위에 얹어서 사용하는 보철로, 본을 떠서 잇몸에 맞게 제작만 하면 즉시 사용할 수 있고, 무치악의 경우에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저작력이 떨어지고, 잇몸에 걸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잇몸에 부담을 주어 잇몸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물감이 심하며 탈착과 세척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심미성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브릿지의 경우 상실한 치아 양쪽에 보철을 걸어주는 방식으로, 저작력과 심미성이 틀니에 비해 우수하고 임플란트에 비해 치료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 건강한 인접 치아를 삭제해야 하고, 구강 가장 안쪽에 있는 어금니의 경우 양쪽에 치아가 존재하지 않아 진행하기 어려우며 인접 치아가 약해질 경우 브릿지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직접 인공치근을 식립하는 방식으로, 단독으로 식립되기 때문에 인접 치아의 손상이 없고, 저작력과 심미성이 자연치아와 흡사하며 관리에 따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틀니나 브릿지에 비해 치료 기간이 길고, 잇몸뼈가 건강하지 않거나 충분하지 않을 경우 추가로 잇몸뼈 이식술을 받아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

황우석 명지 더착한치과 대표원장은 “임플란트는 틀니와 브릿지의 단점을 보완하고, 현대에서 자연치아를 가장 잘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때문에 보통 치아를 상실했을 경우 보통 치과에선 임플란트 식립을 추천한다. 하지만, 치과를 내원하는 모든 환자가 임플란트가 가능한 것은 아니고, 구강 상태에 따라 틀니나 브릿지가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다”며, “임플란트의 경우 환자의 몸 상태가 나쁘거나 당뇨나 고혈압과 같은 전신질환을 앓고 있으면 시술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브릿지를 시술한다. 임플란트나 브릿지의 시술이 어려운 건강 상태이거나, 상실한 치아의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틀니를 시술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